AD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집중하려면 내부 정책 조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현지 시간 16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온라인 대담에서 지금, 시간이 한국에 유리하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 출신인 커틀러는 한국 협상팀은 워싱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지만 새 정부라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산업통상자원부는 조율 과정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통령실의 감독이 정말 필요하다며 협상 채널과 사공이 너무 많으면 중지를 모으기 더 힘들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커틀러 부회장은 한미 양국이 새로운 관세율에 합의하고, 한국이 일부 비관세 장벽을 먼저 해소하며 대미 투자와 미국산 제품 구매를 약속한다면 8월 1일 전에 큰 틀의 합의가 가능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또 무역 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한미 정상 간 대화가 중요하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성격을 고려하면 실무 단계에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커틀러는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에서 새 요구를 할 수도 있는데 한국 지도자가 그 내용을 완전히 보고받지 않았거나 반박할 의지가 없을 경우, 한국은 국익에 더 반하는 합의를 받아들이게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현지 시간 16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온라인 대담에서 지금, 시간이 한국에 유리하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 출신인 커틀러는 한국 협상팀은 워싱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지만 새 정부라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산업통상자원부는 조율 과정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통령실의 감독이 정말 필요하다며 협상 채널과 사공이 너무 많으면 중지를 모으기 더 힘들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커틀러 부회장은 한미 양국이 새로운 관세율에 합의하고, 한국이 일부 비관세 장벽을 먼저 해소하며 대미 투자와 미국산 제품 구매를 약속한다면 8월 1일 전에 큰 틀의 합의가 가능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또 무역 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한미 정상 간 대화가 중요하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성격을 고려하면 실무 단계에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커틀러는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에서 새 요구를 할 수도 있는데 한국 지도자가 그 내용을 완전히 보고받지 않았거나 반박할 의지가 없을 경우, 한국은 국익에 더 반하는 합의를 받아들이게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