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관세 정책의 여파로 6월 들어 미국에서 도매 물가가 1년 전보다 2.3% 상승했고, 특히 관세의 영향을 받는 상품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6월 미국의 생산자 물가 지수, PPI는 1년 전보다 2.3% 올랐고, 전월 대비 보합에 머물러 전월 대비 0.2% 상승을 예상한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전망을 밑돌았습니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 물가 지수도 1년 전보다 2.5%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는 보합에 머물러 역시 0.2% 상승을 예상한 전문가 전망에 못 미쳤습니다.
특히 관세의 영향을 받는 최종 수요 상품 가격이 전월 대비 0.3% 상승한 반면,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은 전월 대비 0.1% 하락했습니다.
도매 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 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 물가의 선행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운송과 창고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0.9% 하락한 게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앞서 하루 전 발표된 6월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1년 전보다 2.7% 상승해 관세 영향이 서서히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생산자 물가 역시 상품 가격이 상승하며 관세의 영향이 본격화하고 있음을 보여줬지만, 아직 서비스 가격 하락 여파로 지수 상승이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달 24일 의회 증언에서 관세의 물가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6∼8월 경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6월 미국의 생산자 물가 지수, PPI는 1년 전보다 2.3% 올랐고, 전월 대비 보합에 머물러 전월 대비 0.2% 상승을 예상한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전망을 밑돌았습니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 물가 지수도 1년 전보다 2.5%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는 보합에 머물러 역시 0.2% 상승을 예상한 전문가 전망에 못 미쳤습니다.
특히 관세의 영향을 받는 최종 수요 상품 가격이 전월 대비 0.3% 상승한 반면,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은 전월 대비 0.1% 하락했습니다.
도매 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 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 물가의 선행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운송과 창고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0.9% 하락한 게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앞서 하루 전 발표된 6월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1년 전보다 2.7% 상승해 관세 영향이 서서히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생산자 물가 역시 상품 가격이 상승하며 관세의 영향이 본격화하고 있음을 보여줬지만, 아직 서비스 가격 하락 여파로 지수 상승이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달 24일 의회 증언에서 관세의 물가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6∼8월 경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