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 강제이주 구상 논란 확산...이스라엘 전 총리 "인종청소"

가자 강제이주 구상 논란 확산...이스라엘 전 총리 "인종청소"

2025.07.14. 오전 10:5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이스라엘 국방장관이 밝힌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구상을 두고 "인종청소"라는 비판이 나오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전 총리는 현지 시간 13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이스라엘의 '인도주의 도시' 건설 계획에 대해 "그것은 강제수용소"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그곳으로 강제이주 된다면, 이는 인종청소의 일환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앞서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지난 7일 가자 남쪽의 중심도시 라파에 '인도주의 도시'라는 정착촌 건설을 군에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초기에는 60만 명을 이주시킨 뒤 최종적으로는 가자지구 인구 200만 명 전체를 이주시킨다는 계획으로, 이곳에 한 번 들어가면 다른 국가로 이주하는 경우 말고는 마음대로 떠날 수 없게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올메르트 전 총리는 "그들이 만약 가자 지구의 절반 이상을 '청소'하려고 수용소를 짓는다면, 이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추방하고 밀어내고 버리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2006∼2009년 이스라엘 총리를 지낸 올메르트는 이스라엘 정부의 가자지구 침공 직후엔 정부를 지지하는 입장이었지만 이후 무고한 민간인이 살상되는 상황이 이어지자 이를 "전쟁범죄"라고 규탄해왔습니다.

올메르트 전 총리는 이스라엘이 이미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전쟁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상황에서 이른바 '인도주의 도시' 건설은 범죄의 수위를 높일 뿐이라는 점이라고 비난했습니다.

또한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적 분노를 모두 반유대주의로 치부할 수는 없다는 점도 짚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증오 표현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며 "TV와 소셜미디어를 보면서 많은 사람이 반(反)이스라엘적이 된다. 이는 고통스럽지만, '너희가 모든 선을 넘었다'고 여기는 사람들의 정상적 반응"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가자·서안지구에서의 폭력을 지지하며 대규모 정착촌 확장을 추진해 온 극단주의 성향의 이스라엘 장관들에 대해 "내부의 적"이라며 장기적으로 외부의 적보다 더 큰 위협이라고도 주장했습니다.

'인도주의 도시' 구상은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찬반 세력 간 논란이 거세지는 모습입니다.

이스라엘 정부는 해당 프로젝트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이스라엘의 인권 변호사와 학자들은 이 구상을 '반(反)인권 범죄의 청사진'이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반대론자들이 이번 프로젝트를 '강제수용소'에 비유하며 비판하자, 찬성론자 사이에서는 이스라엘 정부의 방침을 나치 독일 당시의 강제수용소에 비교했다는 반발도 나왔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