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꿀벌 정찰 드론' 개발...초경량 뇌 조종장치 벌에 탑재

중국, '꿀벌 정찰 드론' 개발...초경량 뇌 조종장치 벌에 탑재

2025.07.11. 오후 3:3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중국 연구진이 살아있는 벌을 정찰·수색작업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초경량 곤충 두뇌 조종장치를 개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지시간 1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베이징이공대학 자오제량 교수팀은 최근 중국기계공정학보에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기기는 적외선 원격조종장치를 비롯해 다수의 칩을 탑재하고도 무게가 74mg밖에 되지 않으며,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곤충 두뇌 조종기라는 게 연구진 설명입니다.

이는 벌들이 한 번에 옮길 수 있는 꿀의 무게보다 가벼우며, 싱가포르에서 개발한 기존 최경량 장치 무게의 3분의 1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싱가포르에서 만든 장치는 딱정벌레와 바퀴벌레에 사용했는데, 이들 곤충은 비교적 짧은 거리를 느리게 기어갈 뿐만 아니라 쉽게 지치는 측면이 있었습니다.

반면 벌은 쉬지 않고 5km를 날아갈 수 있습니다.

중국 연구진은 두뇌 조종장치를 벌의 등에 묶고 기기에 달린 3개의 바늘로 뇌에 전기자극을 주는 식으로 환각을 일으켜 비행 방향을 명령했으며, 벌이 90% 확률로 명령을 따랐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러한 '사이보그 벌'이 군사용 정찰이나 지진 등 자연재해 현장에서의 실종자 수색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곤충 기반 로봇은 숙주의 우월한 기동성, 위장 능력, 환경 적응력 등을 물려받는다"면서 "인공적인 대체재와 비교해 스텔스 기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만큼 시가전·대테러작전·마약 단속 등에서 비밀정찰 업무를 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연구진은 여전히 일부 결함이 존재한다면서 "조종 기술 등을 최적화해 정확성과 반복도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이보그 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미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선두에 서고 일본이 뒤를 바짝 쫓는 형국이었는데, 최근에는 정부 지원을 앞세운 중국이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고 SCMP는 덧붙였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