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등 주요 무역대상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 발효 시점을 오는 8월 1일로 일괄 연기한 것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등 참모진의 요청 때문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이 현지 시간 8일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시간이 더 있으면 무역 합의를 성사할 수 있다는 베센트 장관 등 정부 당국자들의 말을 들은 뒤 상호관세 부과를 연기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측근들과 전화 통화할 때까지만 해도 상호관세 적용일을 새로 제시할지, 관세율만 명시한 서한을 보낼지 등을 고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협상보다 즉시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기도 했는데, "일부 합의가 가까워졌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베센트 장관의 말을 듣고 입장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했을 때 90일 유예를 끌어낸 주역이기도 합니다.
베센트 장관 등은 관세 적용 시점이 다가오면서 인도와 유럽연합(EU) 등 무역 상대국들과의 협상에서 진전을 이루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상대국으로부터 막판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협상 전략으로 관세 서한을 발송하고 협상을 연장했다고 신문은 보도했습니다.
상호관세는 애초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 일본 등 14개국에 서한을 보내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연기하고 각국에 적용될 상호관세율을 통보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이 현지 시간 8일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시간이 더 있으면 무역 합의를 성사할 수 있다는 베센트 장관 등 정부 당국자들의 말을 들은 뒤 상호관세 부과를 연기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측근들과 전화 통화할 때까지만 해도 상호관세 적용일을 새로 제시할지, 관세율만 명시한 서한을 보낼지 등을 고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협상보다 즉시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기도 했는데, "일부 합의가 가까워졌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베센트 장관의 말을 듣고 입장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했을 때 90일 유예를 끌어낸 주역이기도 합니다.
베센트 장관 등은 관세 적용 시점이 다가오면서 인도와 유럽연합(EU) 등 무역 상대국들과의 협상에서 진전을 이루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상대국으로부터 막판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협상 전략으로 관세 서한을 발송하고 협상을 연장했다고 신문은 보도했습니다.
상호관세는 애초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 일본 등 14개국에 서한을 보내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연기하고 각국에 적용될 상호관세율을 통보했습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