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이 자국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대규모 공공조달 참여를 사실상 금지한 유럽연합(EU)에 맞불 보복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중국 재정부는 오늘부터 중앙 또는 지방정부가 예산 4,500만 위안(약 85억 원) 이상의 의료기기를 구매할 경우 EU 기업의 참여를 배제해야 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또 중국 정부 조달에 참여하는 비(非) EU 기업은 EU로부터 수입한 의료기기의 비중이 중국과의 계약 총액의 50%를 넘지 않아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EU로부터 수입해야만 하는 조달 사업의 경우는 'EU 배제'를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앞서 EU 집행위원회는 지난달 20일 500만 유로(약 79억 원)를 넘는 의료기기 공공조달 시 중국 기업의 입찰 참여를 금지하고, 공공조달 낙찰 기업의 중국산 구성품 비율도 50% 미만으로 제한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번 조치가 보복 성격임을 분명히 하면서도 수위 조절을 하며 대화의 문을 열어뒀습니다.
EU와 중국은 작년부터 중국산 전기차와 EU산 브랜디, 농축산품 등을 놓고 무역 분쟁을 벌였고, 올해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까지 포함해 무역 협상을 이어왔습니다.
미국발 관세전쟁 이후 잠시 타협을 모색하는 듯했지만, 중국이 지난 4일 EU산 브랜디에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결정하고, 오늘 EU 의료기기 업체 상대 보복 조치까지 내놓으면서 관계가 다시 경색될 조짐도 감지됩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중국 재정부는 오늘부터 중앙 또는 지방정부가 예산 4,500만 위안(약 85억 원) 이상의 의료기기를 구매할 경우 EU 기업의 참여를 배제해야 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또 중국 정부 조달에 참여하는 비(非) EU 기업은 EU로부터 수입한 의료기기의 비중이 중국과의 계약 총액의 50%를 넘지 않아야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EU로부터 수입해야만 하는 조달 사업의 경우는 'EU 배제'를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앞서 EU 집행위원회는 지난달 20일 500만 유로(약 79억 원)를 넘는 의료기기 공공조달 시 중국 기업의 입찰 참여를 금지하고, 공공조달 낙찰 기업의 중국산 구성품 비율도 50% 미만으로 제한했습니다.
중국 정부는 이번 조치가 보복 성격임을 분명히 하면서도 수위 조절을 하며 대화의 문을 열어뒀습니다.
EU와 중국은 작년부터 중국산 전기차와 EU산 브랜디, 농축산품 등을 놓고 무역 분쟁을 벌였고, 올해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까지 포함해 무역 협상을 이어왔습니다.
미국발 관세전쟁 이후 잠시 타협을 모색하는 듯했지만, 중국이 지난 4일 EU산 브랜디에 반덤핑 관세 부과를 결정하고, 오늘 EU 의료기기 업체 상대 보복 조치까지 내놓으면서 관계가 다시 경색될 조짐도 감지됩니다.
YTN 강정규 (liv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