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란 정부가 미국을 향해 핵협상 성사의 조건으로 이란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고 이를 보장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현지 시간 2일 "미국이 이란 국민에 대한 제재를 실효적으로 해제한다는 사실을 보장하길 원한다"며 "하지만 미국 측에선 아직 이 문제를 명확하게 하지 않으려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이 2018년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한 만큼 이란은 이번 핵협상에선 제재 복원을 명문상 제한하는 조항을 요구한 셈입니다.
4∼5월 5차례 이뤄진 미국과 이란의 간접 핵협상에선 이란의 우라늄 농축 활동, 핵사찰의 범위와 정도, 대이란 제재 해제 등 크게 3가지 쟁점을 두고 양측의 이견이 갈렸습니다.
특히 우라늄 농축을 두고 미국은 완전 중단을 요구하지만, 이란은 이를 거부하면서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15년 핵협상 타결 때처럼 이 쟁점을 제재 해제 등과 엮어 타협안이 마련될 수도 있습니다.
이란 핵협상과 관련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31일 성명을 통해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가 이란에 수용 가능한 제안을 전달했다"며 "이란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이란에 모든 우라늄 농축 중단을 요구하고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이 참여하는 원자력 개발 컨소시엄 구성을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지난달 31일 "핵협상과 관련한 미국의 제안을 받았다"고 확인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현지 시간 2일 "미국이 이란 국민에 대한 제재를 실효적으로 해제한다는 사실을 보장하길 원한다"며 "하지만 미국 측에선 아직 이 문제를 명확하게 하지 않으려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이 2018년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한 만큼 이란은 이번 핵협상에선 제재 복원을 명문상 제한하는 조항을 요구한 셈입니다.
4∼5월 5차례 이뤄진 미국과 이란의 간접 핵협상에선 이란의 우라늄 농축 활동, 핵사찰의 범위와 정도, 대이란 제재 해제 등 크게 3가지 쟁점을 두고 양측의 이견이 갈렸습니다.
특히 우라늄 농축을 두고 미국은 완전 중단을 요구하지만, 이란은 이를 거부하면서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15년 핵협상 타결 때처럼 이 쟁점을 제재 해제 등과 엮어 타협안이 마련될 수도 있습니다.
이란 핵협상과 관련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31일 성명을 통해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가 이란에 수용 가능한 제안을 전달했다"며 "이란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이란에 모든 우라늄 농축 중단을 요구하고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이 참여하는 원자력 개발 컨소시엄 구성을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습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지난달 31일 "핵협상과 관련한 미국의 제안을 받았다"고 확인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