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행정부가 유학생에 대한 소셜미디어 심사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제도가 마련될 때까지 전 세계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라는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권준기 특파원.
미국 국무부가 전 세계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고요?
[질문]
미국 정치 전문 매체인 폴리티코가 보도한 내용입니다.
유학생 사상 검증을 위해 소셜미디어 심사 의무화를 추진하면서, 당분간 비자 인터뷰 일정을 잡지 말 것을 국무부가 전 세계 공관에 지시했다는 내용입니다.
폴리티코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서명한 외교 전문을 입수해 이같이 보도했는데요.
인터뷰가 중단되는 비자는 유학 비자인 F 비자와 직업 교육 비자인 M 비자, 방문학자를 위한 J 비자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폴리티코는 전했습니다.
국무부는 보도 내용을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아직 공개적으로 논의된 내용은 아니지만 전문이 보도됐다면 유출된 내용일 거라고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앵커]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하버드대 간 갈등의 연장선인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결국 반유대주의 운동에 가담한 학생을 걸러내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폴리티코는 외교 전문에 테러리스트 차단과 반유대주의 대응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까지는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SNS 검증을 실시했는데, 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온 만큼 대상을 모든 유학생으로 확대한다는 겁니다.
국무부는 어떤 외국인을 받고, 받지 않을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며 SNS 검증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태미 브루스 / 미국 국무부 대변인 : 누가 이 나라에 들어오는지 심사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앞으로도 그 절차를 계속 철저히 진행할 것입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외국인 심사를 이어갈 것이고 그 과정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앵커]
또 하버드대의 돈줄을 죄기 위해 미국 정부가 각종 계약을 해지할 거란 보도도 나왔다고요?
[기자]
어제 트럼프 대통령이 하버드대에 주는 보조금 30억 달러를 회수하겠다고 말한 데 이어 이번엔 정부와 체결한 계약을 재검토할 거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와 입학 전형 과정에서의 인종차별에 관여했다며 이 같은 방침을 전달했다는 겁니다.
조달청은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하는 계약을 적절히 해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하버드대가 연방 정부와 체결한 각종 계약 규모는 1억 달러, 우리 돈으로 천4백억 원에 달해 이 같은 조치가 취해지면 하버드가 재정적 압박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행정부가 유학생에 대한 소셜미디어 심사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제도가 마련될 때까지 전 세계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하라는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권준기 특파원.
미국 국무부가 전 세계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고요?
[질문]
미국 정치 전문 매체인 폴리티코가 보도한 내용입니다.
유학생 사상 검증을 위해 소셜미디어 심사 의무화를 추진하면서, 당분간 비자 인터뷰 일정을 잡지 말 것을 국무부가 전 세계 공관에 지시했다는 내용입니다.
폴리티코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서명한 외교 전문을 입수해 이같이 보도했는데요.
인터뷰가 중단되는 비자는 유학 비자인 F 비자와 직업 교육 비자인 M 비자, 방문학자를 위한 J 비자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폴리티코는 전했습니다.
국무부는 보도 내용을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아직 공개적으로 논의된 내용은 아니지만 전문이 보도됐다면 유출된 내용일 거라고 대변인은 말했습니다.
[앵커]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하버드대 간 갈등의 연장선인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결국 반유대주의 운동에 가담한 학생을 걸러내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폴리티코는 외교 전문에 테러리스트 차단과 반유대주의 대응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까지는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SNS 검증을 실시했는데, 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온 만큼 대상을 모든 유학생으로 확대한다는 겁니다.
국무부는 어떤 외국인을 받고, 받지 않을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며 SNS 검증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태미 브루스 / 미국 국무부 대변인 : 누가 이 나라에 들어오는지 심사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앞으로도 그 절차를 계속 철저히 진행할 것입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외국인 심사를 이어갈 것이고 그 과정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앵커]
또 하버드대의 돈줄을 죄기 위해 미국 정부가 각종 계약을 해지할 거란 보도도 나왔다고요?
[기자]
어제 트럼프 대통령이 하버드대에 주는 보조금 30억 달러를 회수하겠다고 말한 데 이어 이번엔 정부와 체결한 계약을 재검토할 거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와 입학 전형 과정에서의 인종차별에 관여했다며 이 같은 방침을 전달했다는 겁니다.
조달청은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하는 계약을 적절히 해지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하버드대가 연방 정부와 체결한 각종 계약 규모는 1억 달러, 우리 돈으로 천4백억 원에 달해 이 같은 조치가 취해지면 하버드가 재정적 압박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