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소셜미디어(SNS) 엑스(X·옛 트위터)의 일부 기능이 하루 가까이 장애를 겪고 있다고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가 보도했습니다.
인터넷 모니터링 사이트 다운 디텍터는 현지시각 지난 22일 오후부터 이용자들이 수천 건의 엑스 서비스 장애를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접속이 완전 불통인 것은 아니지만, 이용자들은 일부 로그인이 되지 않거나 혹은 메시지가 로딩되지 않거나, 특정 게시글은 웹페이지를 여러 번 새로 고침해야 보이는 불편을 겪었습니다.
장애 신고 건수는 전날의 경우 약 6천 건에 이르렀습니다.
미국 동부 시각 22일 낮 1시쯤에는 신고 건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천 건이 넘었다고 테크크런치는 전했습니다.
엑스 측은 "일부 사용자들이 플랫폼에서 문제를 겪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현재 데이터 센터 장애가 발생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 중"이라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전날 미 오리건주 포틀랜드 인근에 있는 엑스의 임대 데이터 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미국 언론들은 보도했습니다.
다만, 이 화재가 현재의 서비스 장애와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테크크런치는 전했습니다.
엑스는 지난 3월에는 미국을 비롯한 거의 전 세계 국가에서 일시적으로 접속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머스크는 당시 증거는 제시하지 않고 "엑스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엑스는 2022년 머스크가 인수한 후 전체 직원 수를 7,500명에서 1,300명으로 80% 가까이 감축했습니다.
이후 엔지니어도 대폭 줄이면서 디도스(DDoS·여러 개의 장치로 컴퓨터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에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켜 데이터 전송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 공격에 취약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테크크런치는 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인터넷 모니터링 사이트 다운 디텍터는 현지시각 지난 22일 오후부터 이용자들이 수천 건의 엑스 서비스 장애를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접속이 완전 불통인 것은 아니지만, 이용자들은 일부 로그인이 되지 않거나 혹은 메시지가 로딩되지 않거나, 특정 게시글은 웹페이지를 여러 번 새로 고침해야 보이는 불편을 겪었습니다.
장애 신고 건수는 전날의 경우 약 6천 건에 이르렀습니다.
미국 동부 시각 22일 낮 1시쯤에는 신고 건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천 건이 넘었다고 테크크런치는 전했습니다.
엑스 측은 "일부 사용자들이 플랫폼에서 문제를 겪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현재 데이터 센터 장애가 발생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 중"이라고만 밝혔습니다.
앞서 전날 미 오리건주 포틀랜드 인근에 있는 엑스의 임대 데이터 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미국 언론들은 보도했습니다.
다만, 이 화재가 현재의 서비스 장애와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테크크런치는 전했습니다.
엑스는 지난 3월에는 미국을 비롯한 거의 전 세계 국가에서 일시적으로 접속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머스크는 당시 증거는 제시하지 않고 "엑스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엑스는 2022년 머스크가 인수한 후 전체 직원 수를 7,500명에서 1,300명으로 80% 가까이 감축했습니다.
이후 엔지니어도 대폭 줄이면서 디도스(DDoS·여러 개의 장치로 컴퓨터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에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켜 데이터 전송에 장애를 일으키는 것) 공격에 취약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테크크런치는 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