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로 고금리 유지...미국 4월 성수기에 주택 판매↓

트럼프 관세로 고금리 유지...미국 4월 성수기에 주택 판매↓

2025.05.23. 오전 11:0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린 미 연방준비제도가 좀처럼 금리를 낮추지 못하고 있는데요.

집을 살 때 빌리는 돈에 붙는 이자율인 '모기지' 금리도 여전히 높아 성수기인 4월 미 주택 판매가 전월보다 0.5% 감소했습니다.

뉴욕에서 이승윤입니다.

[기자]
전통적으로 4월은 미국 주택 시장 성수기지만 올해는 '모기지' 금리와 주택 가격 상승으로 기존 주택 판매가 전월보다 0.5% 감소했습니다.

이는 2009년 이후 역대 4월 중 최저입니다.

전미 부동산 중개인 협회는 "30년 만기 모기지 평균 금리가 7%로 매우 높아 주택 시장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문제는 트럼프의 관세로 3분기부터 인플레이션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연준은 물가 관리에 집중하고 있어 앞으로도 금리를 낮추기 어렵다는 점.

[조지 시폴로니 / 펜 뮤추얼 자산 관리 매니저 : 올해 금리 인하를 4~5번에서 2~3번으로 조정했고, 빨라야 9월일 듯한데 당장 연준이 금리를 내리진 않을 것 같네요.]

이런 가운데 S&P 글로벌이 발표한 5월 제조업 구매 관리자 지수, PMI 예비치는 52.3으로 시장 예상치는 물론, 지난달 50.2를 넘어섰습니다.

서비스업 PMI도 52.3로 4월의 50.8보다 올라 기대치를 넘어서는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22만 7천 건으로 한 주 전보다 2천 건 감소해 미국 경제의 기초 체력은 여전히 탄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관세 영향이 아직 반영되지 않은 수치로 월마트와 타깃 등 미국 유통 기업들은 관세 충격파에 대비한 가격 인상을 예고한 상태.

스포츠 의류 업체 나이키는 일부 제품의 10% 가격 인상 방침을 밝혔지만, 관세 때문이라고 밝히진 않았는데 이 같은 미국 기업의 눈치 보기 식 가격 인상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 : 최고은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