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극적인 휴전 후에도 긴장 상태를 이어가고 있는 '사실상 핵보유국' 인도와 파키스탄이 서로 핵무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며 국제 사회의 감시를 받아야 한다고 비난했습니다.
인도 힌두스탄타임스 등에 따르면 라즈나트 싱 인도 국방부 장관은 현지 시간 15일 인도령 카슈미르에 있는 한 부대를 찾아 "핵무기가 무책임하고 일탈적인 국가의 손에 있는 것이 과연 안전한지 세계를 향해 질문을 던지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파키스탄의 핵무기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 아래 놓여야 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파키스탄 외교부는 IAEA가 "인도 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 핵·방사성 물질의 도난 및 불법 유통 사건을 조사해야 한다"며 "이러한 사건들은 인도 내에서 민감한 '이중 용도의 물질'이 거래되는 암시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나라는 IAEA 회원국이지만 핵무기 통제 국제체제인 핵확산금지조약(NPT)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NPT가 인정하는 핵보유국은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5개국뿐이며 인도와 파키스탄은 이스라엘과 함께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서 잦은 무력 충돌을 벌이고, 서로 핵 공격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위협하는 나라는 인도와 파키스탄뿐입니다.
이번 무력 충돌 때도 인도가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인더스강 지류의 흐름을 막겠다고 나서자 파키스탄은 핵 공격 가능성까지 언급했고, 미국과 중국 등 전 세계가 나서서 두 나라가 전면전까지 가지 않도록 중재에 나섰습니다.
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인도와 파키스탄의 핵탄두 보유 수는 각각 172개, 170개로 비슷한 수준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인도 힌두스탄타임스 등에 따르면 라즈나트 싱 인도 국방부 장관은 현지 시간 15일 인도령 카슈미르에 있는 한 부대를 찾아 "핵무기가 무책임하고 일탈적인 국가의 손에 있는 것이 과연 안전한지 세계를 향해 질문을 던지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파키스탄의 핵무기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 아래 놓여야 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파키스탄 외교부는 IAEA가 "인도 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 핵·방사성 물질의 도난 및 불법 유통 사건을 조사해야 한다"며 "이러한 사건들은 인도 내에서 민감한 '이중 용도의 물질'이 거래되는 암시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두 나라는 IAEA 회원국이지만 핵무기 통제 국제체제인 핵확산금지조약(NPT)에는 가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NPT가 인정하는 핵보유국은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5개국뿐이며 인도와 파키스탄은 이스라엘과 함께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서 잦은 무력 충돌을 벌이고, 서로 핵 공격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위협하는 나라는 인도와 파키스탄뿐입니다.
이번 무력 충돌 때도 인도가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인더스강 지류의 흐름을 막겠다고 나서자 파키스탄은 핵 공격 가능성까지 언급했고, 미국과 중국 등 전 세계가 나서서 두 나라가 전면전까지 가지 않도록 중재에 나섰습니다.
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인도와 파키스탄의 핵탄두 보유 수는 각각 172개, 170개로 비슷한 수준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