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에서 생산된 일본 자동차 업체의 차량을 역수입하는 방안이 미일 관세 협상의 카드로 일본 정부에서 떠올랐다고 마이니치신문이 14일 보도했습니다.
미국이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상 대상 밖이라며 일본의 철폐 요구에 난색을 보이는 가운데 대일 무역적자 축소를 요구하는 미국 측의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낼 새로운 협상 카드로 이런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특히 일본 업체가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한다면 안정적인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관측했습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빅3 업체의 차량에 대한 일본 시장 수요는 한정적이고 미국 업체들의 판매 노력도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1990년대 미일 무역 갈등 시기에도 일본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해 일부 모델은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이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상 대상 밖이라며 일본의 철폐 요구에 난색을 보이는 가운데 대일 무역적자 축소를 요구하는 미국 측의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낼 새로운 협상 카드로 이런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특히 일본 업체가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한다면 안정적인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관측했습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빅3 업체의 차량에 대한 일본 시장 수요는 한정적이고 미국 업체들의 판매 노력도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1990년대 미일 무역 갈등 시기에도 일본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해 일부 모델은 판매가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