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이 중국에 유령회사 수십 곳을 차려 미국 등 서방기업에 정보기술 노동자들을 위장 취업 시키고 있다고 미국 인터넷매체 악시오스가 보도했습니다.
악시오스는 미국 보안업체 스트라이더가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중국에 등록된 35개 기업이 북한의 IT 인력 활동과 연결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35개 기업은 미국의 제재 대상인 랴오닝 중국 무역과 관련돼 있는 것으로 강한 의심이 든다고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은 지난 1월 북한 IT 노동자를 위한 노트북 장비를 북한 인민무력성 53부에 공급한 랴오닝 중국 무역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섬유·전자제품 도소매 업체로 등록한 '단둥 데윤 무역' 등 3개 업체가 랴오닝 중국 무역이 북한에 작전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고 지목했습니다.
북한 IT 노동자들은 미국 기업을 속여 위장 취업한 뒤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아 북한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활용해왔고, 포천 500대 기업의 거의 모두가 이 문제로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악시오스는 전했습니다.
또 최근에는 북한이 기업의 지식재산권이나 기업 비밀을 수집하는 쪽으로 작전의 초점을 이동했다고 스트라이더는 밝혔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악시오스는 미국 보안업체 스트라이더가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중국에 등록된 35개 기업이 북한의 IT 인력 활동과 연결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35개 기업은 미국의 제재 대상인 랴오닝 중국 무역과 관련돼 있는 것으로 강한 의심이 든다고 보고서는 전했습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은 지난 1월 북한 IT 노동자를 위한 노트북 장비를 북한 인민무력성 53부에 공급한 랴오닝 중국 무역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섬유·전자제품 도소매 업체로 등록한 '단둥 데윤 무역' 등 3개 업체가 랴오닝 중국 무역이 북한에 작전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고 지목했습니다.
북한 IT 노동자들은 미국 기업을 속여 위장 취업한 뒤 높은 수준의 급여를 받아 북한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활용해왔고, 포천 500대 기업의 거의 모두가 이 문제로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악시오스는 전했습니다.
또 최근에는 북한이 기업의 지식재산권이나 기업 비밀을 수집하는 쪽으로 작전의 초점을 이동했다고 스트라이더는 밝혔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