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판이 지난해보다 크게 하락했다는 내용의 국제 여론조사 결과가 현지 시간 12일 발표됐습니다.
덴마크 비영리단체 민주주의동맹이 여론조사업체 니라데이터에 의뢰해 지난달 전 세계 100개 국가의 민주주의 평판을 조사한 결과, 미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판지수는 -100%부터 +100%까지의 백분율 형태 지수에서 '-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인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보다 많았다는 의미로, 1년 전 조사에서 미국에 대한 평판이 '+22%'였던 것보다 크게 떨어진 것입니다.
반면, 중국은 오히려 지난해 +5%보다 향상된 +14%를 기록하며 미국보다 더 나은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민주주의동맹이 집계한 미국의 민주주의 평판지수는 아르헨티나(-1%)와 러시아(-9%), 이라크(-10%), 헝가리(-10%) 등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 덴마크 총리 등을 지낸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민주주의동맹 창립자는 미국의 평판 지수가 크게 하락한 이유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지목했습니다.
라스무센은 "트럼프는 무역전쟁을 촉발했고, 백악관 집무실에서는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꾸짖었다"며, "동맹은 취약하게 하고, 적대 세력에는 힘을 줬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의 평판 지수는 +15%로, 중국(+14%), 영국(+16%)과 비슷했습니다.
주요국 가운데 평판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48%)였고, 싱가포르(+46%), 카타르(+40%), 캐나다(+40%), 요르단(+39%)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점수가 가장 낮은 국가는 이란(-25%), 이스라엘(-23%), 벨라루스(-21%) 등의 순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9∼23일, 100개국 11만 천273명을 대상으로 주변국에 대한 의견을 묻는 방식으로 이뤄졌다고 조사업체는 밝혔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덴마크 비영리단체 민주주의동맹이 여론조사업체 니라데이터에 의뢰해 지난달 전 세계 100개 국가의 민주주의 평판을 조사한 결과, 미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평판지수는 -100%부터 +100%까지의 백분율 형태 지수에서 '-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인 응답자가, 그렇지 않은 응답자보다 많았다는 의미로, 1년 전 조사에서 미국에 대한 평판이 '+22%'였던 것보다 크게 떨어진 것입니다.
반면, 중국은 오히려 지난해 +5%보다 향상된 +14%를 기록하며 미국보다 더 나은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민주주의동맹이 집계한 미국의 민주주의 평판지수는 아르헨티나(-1%)와 러시아(-9%), 이라크(-10%), 헝가리(-10%) 등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 덴마크 총리 등을 지낸 아네르스 포그 라스무센 민주주의동맹 창립자는 미국의 평판 지수가 크게 하락한 이유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지목했습니다.
라스무센은 "트럼프는 무역전쟁을 촉발했고, 백악관 집무실에서는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꾸짖었다"며, "동맹은 취약하게 하고, 적대 세력에는 힘을 줬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의 평판 지수는 +15%로, 중국(+14%), 영국(+16%)과 비슷했습니다.
주요국 가운데 평판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48%)였고, 싱가포르(+46%), 카타르(+40%), 캐나다(+40%), 요르단(+39%)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점수가 가장 낮은 국가는 이란(-25%), 이스라엘(-23%), 벨라루스(-21%) 등의 순이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9∼23일, 100개국 11만 천273명을 대상으로 주변국에 대한 의견을 묻는 방식으로 이뤄졌다고 조사업체는 밝혔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