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인들의 3년 뒤 물가상승률 전망치가 거의 3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하고, 고용시장 전망도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내놓은 4월 월례 설문조사 결과 3년 후 물가상승률 기대치 중간값은 3.2%로, 2022년 7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일자리에 대한 기대치도 많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석 달 안에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은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1년 뒤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코로나 팬데믹 초기이던 2020년 4월 이후 가장 높았고 물가와 고용 시장에 대한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미래 가계 상황에 대한 인식도 악화됐습니다.
미 가구 3분의 1 이상이 지금보다 1년 뒤 가계 재정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2022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지금 가계 상황이 1년 전보다 나쁘다고 답한 비율도 3분의 1 이상입니다.
향후 3개월 동안 최소한의 부채상환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 비율도 올라갔습니다.
가계 소득 예상 증가율은 2021년 4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소비자들은 또 내년에 연료비와 대학 등록금, 의료비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고, 주택 임대료 상승 폭도 지금보다 1.8%포인트 높은 9%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근의 금융 시장 혼란에도 불구하고 향후 12개월간 미국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증가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 특히 무역 관련 정책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촉발할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물가 압력 기대치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관세 문제가 어느 수준까지, 언제까지 영향을 미칠지 불분명하며, 이는 향후 물가 예측을 힘들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내놓은 4월 월례 설문조사 결과 3년 후 물가상승률 기대치 중간값은 3.2%로, 2022년 7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일자리에 대한 기대치도 많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석 달 안에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은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1년 뒤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코로나 팬데믹 초기이던 2020년 4월 이후 가장 높았고 물가와 고용 시장에 대한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미래 가계 상황에 대한 인식도 악화됐습니다.
미 가구 3분의 1 이상이 지금보다 1년 뒤 가계 재정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2022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지금 가계 상황이 1년 전보다 나쁘다고 답한 비율도 3분의 1 이상입니다.
향후 3개월 동안 최소한의 부채상환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 비율도 올라갔습니다.
가계 소득 예상 증가율은 2021년 4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소비자들은 또 내년에 연료비와 대학 등록금, 의료비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고, 주택 임대료 상승 폭도 지금보다 1.8%포인트 높은 9%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최근의 금융 시장 혼란에도 불구하고 향후 12개월간 미국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증가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 특히 무역 관련 정책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촉발할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물가 압력 기대치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관세 문제가 어느 수준까지, 언제까지 영향을 미칠지 불분명하며, 이는 향후 물가 예측을 힘들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