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 인공지능,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주요 연구진 200여 명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만 공부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의 싱크탱크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딥시크가 2024년 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1년간 발표한 논문 5편에 이름을 올린 200여 명의 출신 학교와 주요 경력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분석 결과 201명 중 54%인 111명이 중국에서만 교육받고 중국 연구기관 등에 소속돼 있어 미국에서 교육받거나 일한 경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미국에서 공부하거나 경력을 쌓은 적이 있는 연구자는 전체 4분의 1 수준인 49명에 머물렀습니다.
조사대상 201명 중 85%는 중국 기관에 소속돼 있으며 현재 미국 기관에 있는 연구자는 7%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후버연구소는 이런 분석 결과에 대해 "서구 전문 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중국이 국내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이 집단을 형성하는 데 있어 미국의 역할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딥시크 사례는 미국 기술 정책의 치명적인 사각지대, 즉 인적 자본 우위의 붕괴를 보여준다"며 "미국은 규제만으로 기술적 우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국내외에서 최고의 인재를 양성해 데려와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기술 리더십의 미래는 글로벌 인재 경쟁에서의 전략적 우위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의 싱크탱크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딥시크가 2024년 1월부터 2025년 2월까지 1년간 발표한 논문 5편에 이름을 올린 200여 명의 출신 학교와 주요 경력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분석 결과 201명 중 54%인 111명이 중국에서만 교육받고 중국 연구기관 등에 소속돼 있어 미국에서 교육받거나 일한 경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미국에서 공부하거나 경력을 쌓은 적이 있는 연구자는 전체 4분의 1 수준인 49명에 머물렀습니다.
조사대상 201명 중 85%는 중국 기관에 소속돼 있으며 현재 미국 기관에 있는 연구자는 7%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후버연구소는 이런 분석 결과에 대해 "서구 전문 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중국이 국내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이 집단을 형성하는 데 있어 미국의 역할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딥시크 사례는 미국 기술 정책의 치명적인 사각지대, 즉 인적 자본 우위의 붕괴를 보여준다"며 "미국은 규제만으로 기술적 우위를 유지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국내외에서 최고의 인재를 양성해 데려와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기술 리더십의 미래는 글로벌 인재 경쟁에서의 전략적 우위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경아 (ka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