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영유권 분쟁지인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로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자 미국이 나서서 양국에 긴장 완화를 위해 협력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로이터·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전날(30일) 성명을 통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인도와 파키스탄 지도자들과 통화했다고 밝혔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와의 통화에서 이번 사건을 '테러'이자 '용납할 수 없는 일'로 규정하며 파키스탄 정부에 수사 협조를 촉구했습니다.
다만 파키스탄을 직접적으로 비난하지는 않았습니다.
또 "인도와 협력해 긴장을 완화하고 직접적인 소통을 복원하며 남아시아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이에 샤리프 총리는 루비오 장관에게 "인도가 위협과 수위 높은 발언을 자제하도록 촉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S.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 장관과도 통화해 극단주의에 맞서는 인도를 지지한다며 양국 간 직접적인 소통과 평화·안보를 유지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또 다른 국가들에도 인도와 파키스탄의 긴장 완화에 도움을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인도는 파키스탄 군용기는 물론 파키스탄에 등록되고 파키스탄 항공사가 운용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 자국 영공 통과를 금지했습니다.
이 조치는 이달 23일까지 유지될 예정입니다.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인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친 뒤 인도와 파키스탄 관계는 점차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인도는 이번 사건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고 주장하며 파키스탄으로 흘러가는 인더스강 물줄기를 방해하지 않기로 한 '인더스강 조약' 효력을 중단했습니다.
또 인도 내 파키스탄인 비자를 취소하고 추방 조치에 나섰으며 파키스탄 내 대사관 인력을 대폭 축소했습니다.
파키스탄은 테러 연루 의혹을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섰습니다.
이후 두 나라의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을 두고 소규모 교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날 파키스탄 정보부는 인도가 24∼36시간 내 군사 공격을 감행할 계획이라는 신뢰할 만한 정보가 있다고 밝혔으며 인도 언론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인도군에 언제 어떤 방식으로든 파키스탄을 공격할 수 있도록 '작전상의 자유'를 부여했다고 밝혀 양국 간 무력 충돌의 우려가 커지는 상황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전날(30일) 성명을 통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인도와 파키스탄 지도자들과 통화했다고 밝혔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와의 통화에서 이번 사건을 '테러'이자 '용납할 수 없는 일'로 규정하며 파키스탄 정부에 수사 협조를 촉구했습니다.
다만 파키스탄을 직접적으로 비난하지는 않았습니다.
또 "인도와 협력해 긴장을 완화하고 직접적인 소통을 복원하며 남아시아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이에 샤리프 총리는 루비오 장관에게 "인도가 위협과 수위 높은 발언을 자제하도록 촉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S. 자이샨카르 인도 외무 장관과도 통화해 극단주의에 맞서는 인도를 지지한다며 양국 간 직접적인 소통과 평화·안보를 유지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또 다른 국가들에도 인도와 파키스탄의 긴장 완화에 도움을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인도는 파키스탄 군용기는 물론 파키스탄에 등록되고 파키스탄 항공사가 운용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 자국 영공 통과를 금지했습니다.
이 조치는 이달 23일까지 유지될 예정입니다.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인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친 뒤 인도와 파키스탄 관계는 점차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인도는 이번 사건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고 주장하며 파키스탄으로 흘러가는 인더스강 물줄기를 방해하지 않기로 한 '인더스강 조약' 효력을 중단했습니다.
또 인도 내 파키스탄인 비자를 취소하고 추방 조치에 나섰으며 파키스탄 내 대사관 인력을 대폭 축소했습니다.
파키스탄은 테러 연루 의혹을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섰습니다.
이후 두 나라의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을 두고 소규모 교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날 파키스탄 정보부는 인도가 24∼36시간 내 군사 공격을 감행할 계획이라는 신뢰할 만한 정보가 있다고 밝혔으며 인도 언론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인도군에 언제 어떤 방식으로든 파키스탄을 공격할 수 있도록 '작전상의 자유'를 부여했다고 밝혀 양국 간 무력 충돌의 우려가 커지는 상황입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