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러시아가 점령한 유럽 최대 원자력 발전소인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이 현지시간 7일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받아 직원 등 3명이 다쳤다고 러시아 측이 주장했습니다.
로이터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은 자포리자 원전이 공격받아 직원 3명이 다쳤으며 이 가운데 1명은 중태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측은 공격 사실을 부인하며 러시아 측 자작극일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자포리자 원전 돔에서 드론 폭발이 관측됐다며 "원자력 안전에 위험이 생기진 않았지만 원자로 격납 용기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는 심각한 사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사톰은 성명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첫 번째 공격이 원전 구내식당 인근을 타격하고 30여 분 뒤 드론 두 대가 각각 원전 하역장과 6호기 돔을 공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이번 공격에도 원전 주변의 방사선 수치는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우크라이나의 '핵 테러' 행동에 대해 세계 지도자들이 규탄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반면 우크라이나 국방부 산하 총정보국(HUR)의 안드리 유소우 대변인은 텔레그램 글에서 우크라이나의 개입설을 부인하며 "모방 공격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 구역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은 이미 잘 알려진 침략군의 범죄 행위"라고 반박했습니다.
이반 페도로우 자포리자 군사행정청장도 8일 소셜미디어에 러시아군의 공습으로 3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면서 "러시아군은 지난 24시간 동안 자포리자의 인구 밀집 지역 8곳을 357차례 공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자포리자 원전의 원자로 격납 시설 인근에서 최소 3차례의 공격이 있었다며 이는 "심각한 핵사고의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IAEA는 자포리자 원전이 공격의 직접적인 표적이 된 것은 2022년 11월 이후 처음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 지역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상당 부분 점령당했으며 2022년 3월부터 자포리자 원전도 러시아가 통제하고 있습니다.
6기의 원자로로 구성된 자포리자 원전은 현재 가동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YTN 김희준 (hijun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은 자포리자 원전이 공격받아 직원 3명이 다쳤으며 이 가운데 1명은 중태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측은 공격 사실을 부인하며 러시아 측 자작극일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자포리자 원전 돔에서 드론 폭발이 관측됐다며 "원자력 안전에 위험이 생기진 않았지만 원자로 격납 용기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는 심각한 사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사톰은 성명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첫 번째 공격이 원전 구내식당 인근을 타격하고 30여 분 뒤 드론 두 대가 각각 원전 하역장과 6호기 돔을 공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이번 공격에도 원전 주변의 방사선 수치는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우크라이나의 '핵 테러' 행동에 대해 세계 지도자들이 규탄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반면 우크라이나 국방부 산하 총정보국(HUR)의 안드리 유소우 대변인은 텔레그램 글에서 우크라이나의 개입설을 부인하며 "모방 공격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 구역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은 이미 잘 알려진 침략군의 범죄 행위"라고 반박했습니다.
이반 페도로우 자포리자 군사행정청장도 8일 소셜미디어에 러시아군의 공습으로 3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면서 "러시아군은 지난 24시간 동안 자포리자의 인구 밀집 지역 8곳을 357차례 공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자포리자 원전의 원자로 격납 시설 인근에서 최소 3차례의 공격이 있었다며 이는 "심각한 핵사고의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IAEA는 자포리자 원전이 공격의 직접적인 표적이 된 것은 2022년 11월 이후 처음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 지역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상당 부분 점령당했으며 2022년 3월부터 자포리자 원전도 러시아가 통제하고 있습니다.
6기의 원자로로 구성된 자포리자 원전은 현재 가동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YTN 김희준 (hijun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