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CNN 보도화면
AD
미국의 한 해변마을이 바닷물 침투를 막기 위해 50만 달러(약 6억 6,000만 원)를 들여 모래언덕을 쌓았으나, 3일 만에 모래를 모두 잃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보스턴에서 북쪽으로 56㎞ 떨어진 매사추세츠주의 부유한 해변마을인 솔즈베리의 집주인들은 잇따른 폭풍과 폭우로 침식된 해변에 50만 달러를 들여 모래 1만 5,000t을 투입하고 해안 보호용 모래언덕을 건설했다. 바닷물이 치고 들어와 주택을 훼손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이 작업의 공사는 지난달 완료됐으나, 완성된 모래언덕은 폭풍이 몰아닥치자 72시간도 지나지 않아 모조리 바다로 휩쓸려 나가고 말았다.
모래언덕을 추진했던 '변화를 위한 솔즈베리 해변 시민' 모임은 페이스북에서 "값비싼 보호 장치가 며칠 만에 파괴되었지만, 희생적인 모래 언덕은 제 역할을 다했다"며 언덕이 없었더라면 더 많은 것이 파괴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솔즈베리는 기상이변으로 최근 몇 달간 해수면 상승, 강풍, 폭풍우로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들은 자구책마저 수포가 되자 주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지역 뉴스 매체인 폭스59는 주 상원이 모래 보충을 위해 주정부 예산 150만 달러(약 20억 원)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보도에 따르면 보스턴에서 북쪽으로 56㎞ 떨어진 매사추세츠주의 부유한 해변마을인 솔즈베리의 집주인들은 잇따른 폭풍과 폭우로 침식된 해변에 50만 달러를 들여 모래 1만 5,000t을 투입하고 해안 보호용 모래언덕을 건설했다. 바닷물이 치고 들어와 주택을 훼손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이 작업의 공사는 지난달 완료됐으나, 완성된 모래언덕은 폭풍이 몰아닥치자 72시간도 지나지 않아 모조리 바다로 휩쓸려 나가고 말았다.
모래언덕을 추진했던 '변화를 위한 솔즈베리 해변 시민' 모임은 페이스북에서 "값비싼 보호 장치가 며칠 만에 파괴되었지만, 희생적인 모래 언덕은 제 역할을 다했다"며 언덕이 없었더라면 더 많은 것이 파괴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솔즈베리는 기상이변으로 최근 몇 달간 해수면 상승, 강풍, 폭풍우로 어려움을 겪었다. 주민들은 자구책마저 수포가 되자 주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지역 뉴스 매체인 폭스59는 주 상원이 모래 보충을 위해 주정부 예산 150만 달러(약 20억 원)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