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Sean Reilly 제공
AD
인도네시아에서 세계에서 가장 작은 신종 ‘송곳니 개구리’가 발견됐다.
미국 시카고 필드박물관 제프리 프레더릭 박사팀은 22일 온라인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에서 아래턱뼈에서 튀어나오고 두 개의 송곳니를 가진 신종 개구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개구리는 몸길이가 3cm 내외로 술라웨시섬에서 발견된 다른 송곳니 개구리의 4분의 1에 불과해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작다고 설명했다.
개구리의 학명은 '림노넥테스 필로폴리아'(Limnonectes phyllofolia)다. ‘나뭇잎에 둥지를 트는 동물’이라는 의미로 이 개구리들이 지상 1~1.5m 높이의 나뭇잎에 주로 알을 낳는 데서 유래했다.
연구팀은 개구리는 보통 위턱에 뾰족한 작은 이빨들이 있는데 송곳니 개구리는 아래턱뼈에 이빨 2개가 솟아 있다며 이 송곳니로 영역·짝짓기 다툼 등을 할 때 싸우기도 하고 지네·게처럼 껍질이 단단한 먹이를 사냥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술라웨시섬 정글을 조사하던 중 작은 나무의 잎과 바위 이끼에서 개구리알 덩어리들을 발견하고 조사에 나서 이번 신종 송곳니 개구리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개구리들은 보통 개구리들과는 달리 나뭇잎이나 이끼에 알을 낳은 뒤 부모 개구리가 알을 감싸 알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알을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에 오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화합물로 코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시카고 필드박물관 제프리 프레더릭 박사팀은 22일 온라인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에서 아래턱뼈에서 튀어나오고 두 개의 송곳니를 가진 신종 개구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개구리는 몸길이가 3cm 내외로 술라웨시섬에서 발견된 다른 송곳니 개구리의 4분의 1에 불과해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작다고 설명했다.
개구리의 학명은 '림노넥테스 필로폴리아'(Limnonectes phyllofolia)다. ‘나뭇잎에 둥지를 트는 동물’이라는 의미로 이 개구리들이 지상 1~1.5m 높이의 나뭇잎에 주로 알을 낳는 데서 유래했다.
연구팀은 개구리는 보통 위턱에 뾰족한 작은 이빨들이 있는데 송곳니 개구리는 아래턱뼈에 이빨 2개가 솟아 있다며 이 송곳니로 영역·짝짓기 다툼 등을 할 때 싸우기도 하고 지네·게처럼 껍질이 단단한 먹이를 사냥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술라웨시섬 정글을 조사하던 중 작은 나무의 잎과 바위 이끼에서 개구리알 덩어리들을 발견하고 조사에 나서 이번 신종 송곳니 개구리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개구리들은 보통 개구리들과는 달리 나뭇잎이나 이끼에 알을 낳은 뒤 부모 개구리가 알을 감싸 알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알을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에 오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화합물로 코팅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