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러시아 민간 용병 기업 '바그너그룹'의 무장 반란. 우크라-러시아 전쟁에 큰 변곡점이 될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프리고진이 철수를 결정하며 막을 내렸지만, 그 여파는 상당할 거란 예상이 나오고 있는데요. 짧지만 강력했던 반란, 시간대별로 정리해 봤습니다. 함께 보시죠.
러시아 군 당국과 불화를 겪고 있던 프리고진은 "탄약 등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다" 며 불만을 드러내왔습니다.
결국 지난 23일 오후 9시에 프리고진이 작전을 개시합니다.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군 지도부의 '악'을 막겠다며 아무도 방해하지 말라"고 방향 선회를 선포했습니다.
프리고진의 선전 포고에 러시아 크렘린궁은 즉각 반응했습니다. 2~3시간 만에 프리고진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발동했고요. 즉각 대응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프리고진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24일 새벽에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러시아 본토에 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24일 오전 7시 30분에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러시아 서남부 지역인 로스토프주 로스토프나도누에 있는 군 사령부를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모스크바로부터 1,100km 떨어진 곳이었습니다.
상황이 긴박하게 흐르자 '스트롱맨' 푸틴 대통령운 대국민 연설을 발표합니다.
"우리는 등에 칼이 꽂히는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 프리고진은 배신자"라며 반역 가담자를 강력하게 처벌하겠다는 경고도 남겼습니다.
24일 12시 프리고진 "우린 애국자…투항하지 않을 것" 모스크바서 500km 떨어진 보로네시주 입성
그러자 2시간 뒤에 프리고진, "우린 반역자가 아니라 애국자"라고 반박하며 보로네시주 입성 소식을 전했는데요.
보로네시주는 모스크바에서 약 50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곳으로 이곳에선 바그너군과 러시아군의 교전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엄청난 속도로 모스크바를 향해 가던 프리고진, 하지만 밤 8시가 지나갈 무렵 갑자기 철군을 선언했습니다.
당시 모스크바를 불과 200km 앞두고 있었다고 주장했는데요. 벨라루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의 중재에 반란을 멈춘 겁니다. 프리고진은 벨라루스로 떠나고, 바그너군도 처벌을 면하는 방향으로 합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란은 짧고 굵게 끝났지만, 주목할 부분이 있습니다. 빠른 진격의 배경에 러시아 정규군의 저항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요.
진격에 나서던 프리고진이 돌연 철수를 결정한 것도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죠. 여러 추측만 무성한 가운데 이번 반란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프리고진이 철수를 결정하며 막을 내렸지만, 그 여파는 상당할 거란 예상이 나오고 있는데요. 짧지만 강력했던 반란, 시간대별로 정리해 봤습니다. 함께 보시죠.
러시아 군 당국과 불화를 겪고 있던 프리고진은 "탄약 등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다" 며 불만을 드러내왔습니다.
결국 지난 23일 오후 9시에 프리고진이 작전을 개시합니다.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군 지도부의 '악'을 막겠다며 아무도 방해하지 말라"고 방향 선회를 선포했습니다.
프리고진의 선전 포고에 러시아 크렘린궁은 즉각 반응했습니다. 2~3시간 만에 프리고진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발동했고요. 즉각 대응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프리고진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24일 새벽에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러시아 본토에 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24일 오전 7시 30분에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러시아 서남부 지역인 로스토프주 로스토프나도누에 있는 군 사령부를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모스크바로부터 1,100km 떨어진 곳이었습니다.
상황이 긴박하게 흐르자 '스트롱맨' 푸틴 대통령운 대국민 연설을 발표합니다.
"우리는 등에 칼이 꽂히는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 프리고진은 배신자"라며 반역 가담자를 강력하게 처벌하겠다는 경고도 남겼습니다.
24일 12시 프리고진 "우린 애국자…투항하지 않을 것" 모스크바서 500km 떨어진 보로네시주 입성
그러자 2시간 뒤에 프리고진, "우린 반역자가 아니라 애국자"라고 반박하며 보로네시주 입성 소식을 전했는데요.
보로네시주는 모스크바에서 약 50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곳으로 이곳에선 바그너군과 러시아군의 교전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엄청난 속도로 모스크바를 향해 가던 프리고진, 하지만 밤 8시가 지나갈 무렵 갑자기 철군을 선언했습니다.
당시 모스크바를 불과 200km 앞두고 있었다고 주장했는데요. 벨라루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의 중재에 반란을 멈춘 겁니다. 프리고진은 벨라루스로 떠나고, 바그너군도 처벌을 면하는 방향으로 합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란은 짧고 굵게 끝났지만, 주목할 부분이 있습니다. 빠른 진격의 배경에 러시아 정규군의 저항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요.
진격에 나서던 프리고진이 돌연 철수를 결정한 것도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죠. 여러 추측만 무성한 가운데 이번 반란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