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러시아를 상대로 대반격에 나선 우크라이나군이 동남부 도네츠크주의 3개 마을을 되찾았다고 발표했습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한나 말리아르 우크라이나 국방부 차관은 현지시간 11일 우크라이나군이 도네츠크주의 블라호다트네와 마카리우카를 탈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국경수비대는 "도네츠크 지역의 네스쿠치네 마을에 다시 우크라이나 국기가 걸렸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대반격에 나선 것을 사실상 인정한 뒤 발표한 첫 성과로 평가됩니다.
우크라이나가 탈환했다고 밝힌 마카리우카, 블라호다트네, 네스쿠치네는 약 4.8㎞에 걸쳐 있는 비교적 작은 마을들입니다.
특히 수많은 교전 속에 이미 폐허가 된 블라호다트네는 전쟁 전에는 주민 1천 명가량이 살았던 작은 마을입니다.
이곳은 동부 초격전지인 바흐무트로 연결되는 보급로로서 전략적 가치가 있고 남쪽으로는 러시아가 점령 중인 마리우폴에서 95㎞ 떨어져 있습니다.
말리아르 차관은 우크라이나군이 남부 전선에서 러시아 점령지 2개 방향으로 300m에서 1천500m를 진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르카이나군은 바흐무트를 겨냥한 공세도 계속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말리아르 차관은 텔레그램을 통해 "우리 부대가 바흐무트에서 공격 작전을 계속하고 있다"며 "베르호베 저수지 지역에서 성과가 있었다. 우리는 250m를 전진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현지시간 11일 우크라이나군이 주말 사이 최소 4개 전선에서 반격을 개시했다고 분석했습니다.
ISW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에 나선 곳은 루한스크주 빌로호리우카, 도네츠크주 북부 바흐무트, 오리히프를 비롯한 자포리자 서부, 도네츠크주 서부 벨타 노보실카 등입니다.
우크라이나군이 서방이 지원한 전차 등을 앞세워 일부 점령지를 탈환했지만, 러시아군 방어망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ISW는 "러시아군은 여전히 위험하고 우크라이나군이 확실히 힘든 싸움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우크라이나가 되찾은 마을들이 러시아의 1차 방어선 너머에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우크라이나가 그것들을 돌파했는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러시아군에 맞선 우크라이나의 성과는 비용이 크게 들고 많은 사상자를 초래할 개연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현지시간 11일 자포리자 지역으로 진격해오던 우크라이나 지상군의 공격을 격퇴하는 등 곳곳에서 우크라이나군에 타격을 줬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헤르손 지역으로 날아온 우크라이나 공군의 수호이(SU)-25 전투기를 격추했고 우크라이나가 수상 드론 6척을 동원해 흑해에서 활동 중이던 자국 해군 함선 '프리아조프'를 공격하려 했지만 실패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은 러시아군이 헤르손주 섬 지역에 있는 우크라이나군의 곡사포와 다연장로켓발사 차량(MLRS)을 파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AFP 통신은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인용해 지난 8일 자포리자주 남동부에서 미국산 브래들리 장갑차 9대 가운데 6대가 파괴됐다고 전했습니다.
우크라이나군이 신중하게 반격에 나서고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벤 호지스 전 유럽 주둔 미군 사령관은 "지금까지 우크라이나는 제한된 병력만 쓰고 있다"며 "아마 주요 공격지가 어디가 될지를 놓고 러시아를 혼란스럽게 하려는 의도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군 공군력이 러시아군에 밀리는 상황에서 대반격 초기 지상군의 공격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0일 키이우를 방문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회담한 뒤 러시아군에 대한 반격 작전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가 오랫동안 준비한 대반격에 나섰음을 사실상 처음 인정한 것입니다.
뉴욕타임스는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에 대해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군사작전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YTN 김원배 (wb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한나 말리아르 우크라이나 국방부 차관은 현지시간 11일 우크라이나군이 도네츠크주의 블라호다트네와 마카리우카를 탈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국경수비대는 "도네츠크 지역의 네스쿠치네 마을에 다시 우크라이나 국기가 걸렸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대반격에 나선 것을 사실상 인정한 뒤 발표한 첫 성과로 평가됩니다.
우크라이나가 탈환했다고 밝힌 마카리우카, 블라호다트네, 네스쿠치네는 약 4.8㎞에 걸쳐 있는 비교적 작은 마을들입니다.
특히 수많은 교전 속에 이미 폐허가 된 블라호다트네는 전쟁 전에는 주민 1천 명가량이 살았던 작은 마을입니다.
이곳은 동부 초격전지인 바흐무트로 연결되는 보급로로서 전략적 가치가 있고 남쪽으로는 러시아가 점령 중인 마리우폴에서 95㎞ 떨어져 있습니다.
말리아르 차관은 우크라이나군이 남부 전선에서 러시아 점령지 2개 방향으로 300m에서 1천500m를 진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르카이나군은 바흐무트를 겨냥한 공세도 계속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말리아르 차관은 텔레그램을 통해 "우리 부대가 바흐무트에서 공격 작전을 계속하고 있다"며 "베르호베 저수지 지역에서 성과가 있었다. 우리는 250m를 전진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는 현지시간 11일 우크라이나군이 주말 사이 최소 4개 전선에서 반격을 개시했다고 분석했습니다.
ISW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에 나선 곳은 루한스크주 빌로호리우카, 도네츠크주 북부 바흐무트, 오리히프를 비롯한 자포리자 서부, 도네츠크주 서부 벨타 노보실카 등입니다.
우크라이나군이 서방이 지원한 전차 등을 앞세워 일부 점령지를 탈환했지만, 러시아군 방어망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ISW는 "러시아군은 여전히 위험하고 우크라이나군이 확실히 힘든 싸움을 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우크라이나가 되찾은 마을들이 러시아의 1차 방어선 너머에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우크라이나가 그것들을 돌파했는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러시아군에 맞선 우크라이나의 성과는 비용이 크게 들고 많은 사상자를 초래할 개연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현지시간 11일 자포리자 지역으로 진격해오던 우크라이나 지상군의 공격을 격퇴하는 등 곳곳에서 우크라이나군에 타격을 줬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헤르손 지역으로 날아온 우크라이나 공군의 수호이(SU)-25 전투기를 격추했고 우크라이나가 수상 드론 6척을 동원해 흑해에서 활동 중이던 자국 해군 함선 '프리아조프'를 공격하려 했지만 실패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은 러시아군이 헤르손주 섬 지역에 있는 우크라이나군의 곡사포와 다연장로켓발사 차량(MLRS)을 파괴했다고 보도했습니다.
AFP 통신은 우크라이나 군인들을 인용해 지난 8일 자포리자주 남동부에서 미국산 브래들리 장갑차 9대 가운데 6대가 파괴됐다고 전했습니다.
우크라이나군이 신중하게 반격에 나서고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벤 호지스 전 유럽 주둔 미군 사령관은 "지금까지 우크라이나는 제한된 병력만 쓰고 있다"며 "아마 주요 공격지가 어디가 될지를 놓고 러시아를 혼란스럽게 하려는 의도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군 공군력이 러시아군에 밀리는 상황에서 대반격 초기 지상군의 공격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0일 키이우를 방문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회담한 뒤 러시아군에 대한 반격 작전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우크라이나가 오랫동안 준비한 대반격에 나섰음을 사실상 처음 인정한 것입니다.
뉴욕타임스는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에 대해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군사작전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YTN 김원배 (wb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