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 출처 : 연합뉴스
AD
스위스의 세계적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CS)가 최대 경쟁사 UBS에 인수된 가운데 랄프 하머스 UBS 최고경영자(CEO)가 이 은행을 문 닫게 하려고 인수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하머스 CEO는 직원들에게 보낸 내부 메시지에서 "크레디트스위스를 단순히 폐쇄하려고 인수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이 거래를 원하지는 않았지만 준비돼 있었고 성장을 가속할 기회로 봤다"고 전했습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잇단 투자 실패와 고객 이탈 등으로 인해 경영 위기에 휩싸였다가 지난 19일 UBS에 30억 스위스프랑, 약 4조 2천억 원에 매각됐습니다.
이 인수 계약은 스위스뿐 아니라 유럽 전반의 금융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스위스 연방정부가 개입했습니다.
계약은 정부가 인수 과정에 1천억 스위스프랑, 약 141조 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을 약속하고, UBS가 인수한 자산에서 발생할 잠재적 손실 가운데 90억 스위스프랑(약 12조 7천억여 원)에 대해 보증을 서기로 하면서 전격 성사됐습니다.
앞서 크레디트스위스는 UBS의 인수가 결정되기 전 스위스 중앙은행(SNB)으로부터 500억 스위스프랑(약 71조 원)의 유동성을 지원받았습니다.
YTN 김태현 (kimt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하머스 CEO는 직원들에게 보낸 내부 메시지에서 "크레디트스위스를 단순히 폐쇄하려고 인수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이 거래를 원하지는 않았지만 준비돼 있었고 성장을 가속할 기회로 봤다"고 전했습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잇단 투자 실패와 고객 이탈 등으로 인해 경영 위기에 휩싸였다가 지난 19일 UBS에 30억 스위스프랑, 약 4조 2천억 원에 매각됐습니다.
이 인수 계약은 스위스뿐 아니라 유럽 전반의 금융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스위스 연방정부가 개입했습니다.
계약은 정부가 인수 과정에 1천억 스위스프랑, 약 141조 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을 약속하고, UBS가 인수한 자산에서 발생할 잠재적 손실 가운데 90억 스위스프랑(약 12조 7천억여 원)에 대해 보증을 서기로 하면서 전격 성사됐습니다.
앞서 크레디트스위스는 UBS의 인수가 결정되기 전 스위스 중앙은행(SNB)으로부터 500억 스위스프랑(약 71조 원)의 유동성을 지원받았습니다.
YTN 김태현 (kimt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