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재무부는 현지시각 11일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과 발사 움직임과 관련해 추가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제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면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도운 러시아 국적자 2명과 러시아 기업 3곳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성명에서 "북한은 세계 안보에 중대한 위협인 탄도미사일 발사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번 조치는 북한을 돕는 러시아 기반 개인과 단체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재 대상에 오른 개인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기반을 둔 러시아인 알렉산더 안드레예피치 가예보이와 알렉산더 알렉산드로비치 차소프니코프입니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이들은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북한 당국이 관련 물자를 조달하는 것을 도와온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브라이언 넬슨 미 재무부 테러·금융 정보 차관은 현지시각 11일 "북한은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하며 탄도미사일을 계속 발사하고 있고, 이는 세계 안보에 중대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오늘 조치는 북한이 불법 탄도미사일 시스템을 위한 부품을 조달하는 것을 돕는데 공모한 러시아에 있는 개인·기업을 대상으로 해 위협에 대응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재무부 제재 대상에 오르면 미국 내에 있는 자산이 동결되고, 이들과 거래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이번 조치는 북한이 지난 1월 20일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유예조치 해제를 시사한 뒤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4년 전 폭파했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의 핵실험장 갱도를 복구하는 모습이 포착된 가운데 나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로 읽힙니다.
앞서 미국 행정부는 현지시각 10일 북한이 가장 최근 두 차례 쏘아 올린 준중거리탄도미사일이 실제로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앞두고 사거리를 줄여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시스템을 시험한 것이었다는 분석 결과를 공개하면서 재무부의 대북 추가 제재를 예고했습니다.
이번 제재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 들어 북한과 관련된 세 번째 제재 조치입니다.
미국은 지난 1월 북한의 탄도미사일 무력 시위가 잇따르자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관여한 북한 국적 6명과 러시아인 1명, 러시아 단체 1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특히 당시 제재 대상엔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비롯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국방과학원 소속이 다수 포함됐습니다.
그에 앞서 미국은 지난해 12월 북한의 강제 노동과 인권 탄압을 이유로 북한 중앙검찰소와 사회안전상 출신 리영길 국방상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제재 업무를 담당하는 넬슨 차관은 "미국은 북한이 외교의 길로 돌아가고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추구를 포기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기존 제재를 계속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미국은 북한에 핵과 미사일 문제를 대화를 통해 외교적으로 풀어나갈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성명을 내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노골적인 국제법 위반이며 역내 안정과 국제 평화 그리고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라고 비판한 뒤 "우린 여전히 외교에 전념하고 있으며, 북한이 대화에 관여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원배 (wb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번 제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면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도운 러시아 국적자 2명과 러시아 기업 3곳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성명에서 "북한은 세계 안보에 중대한 위협인 탄도미사일 발사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번 조치는 북한을 돕는 러시아 기반 개인과 단체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재 대상에 오른 개인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기반을 둔 러시아인 알렉산더 안드레예피치 가예보이와 알렉산더 알렉산드로비치 차소프니코프입니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이들은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북한 당국이 관련 물자를 조달하는 것을 도와온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브라이언 넬슨 미 재무부 테러·금융 정보 차관은 현지시각 11일 "북한은 국제법을 명백히 위반하며 탄도미사일을 계속 발사하고 있고, 이는 세계 안보에 중대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오늘 조치는 북한이 불법 탄도미사일 시스템을 위한 부품을 조달하는 것을 돕는데 공모한 러시아에 있는 개인·기업을 대상으로 해 위협에 대응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재무부 제재 대상에 오르면 미국 내에 있는 자산이 동결되고, 이들과 거래하는 것이 금지됩니다.
이번 조치는 북한이 지난 1월 20일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유예조치 해제를 시사한 뒤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4년 전 폭파했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의 핵실험장 갱도를 복구하는 모습이 포착된 가운데 나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로 읽힙니다.
앞서 미국 행정부는 현지시각 10일 북한이 가장 최근 두 차례 쏘아 올린 준중거리탄도미사일이 실제로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앞두고 사거리를 줄여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시스템을 시험한 것이었다는 분석 결과를 공개하면서 재무부의 대북 추가 제재를 예고했습니다.
이번 제재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 들어 북한과 관련된 세 번째 제재 조치입니다.
미국은 지난 1월 북한의 탄도미사일 무력 시위가 잇따르자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관여한 북한 국적 6명과 러시아인 1명, 러시아 단체 1곳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특히 당시 제재 대상엔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비롯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국방과학원 소속이 다수 포함됐습니다.
그에 앞서 미국은 지난해 12월 북한의 강제 노동과 인권 탄압을 이유로 북한 중앙검찰소와 사회안전상 출신 리영길 국방상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제재 업무를 담당하는 넬슨 차관은 "미국은 북한이 외교의 길로 돌아가고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추구를 포기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기존 제재를 계속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미국은 북한에 핵과 미사일 문제를 대화를 통해 외교적으로 풀어나갈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성명을 내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노골적인 국제법 위반이며 역내 안정과 국제 평화 그리고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라고 비판한 뒤 "우린 여전히 외교에 전념하고 있으며, 북한이 대화에 관여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원배 (wb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