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유엔에서 北 미사일 도발 해법 놓고 맞서

美-中, 유엔에서 北 미사일 도발 해법 놓고 맞서

2022.02.05. 오전 08:4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새해 들어 잇따르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문제의 해법을 놓고 유엔에서 미국과 중국이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현지시각 4일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공개회의를 마친 뒤 영국, 프랑스, 일본 등 8개국 대사와 함께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9개국 대사들은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가리켜 "이번 불법 행위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안보리의 계속되는 침묵은 비싼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이는 북한을 대담하게 만들어 안보리 결의 위반을 당연시하고 국제 평화와 안보를 계속해서 위협하게 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북한에 대해 "대화로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전제조건 없이 만나자는 미국의 제안에 긍정적으로 반응해야 한다"며 대화 재개 촉구에 무게를 실었습니다.

공동성명 낭독 후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자 "대통령의 만남을 약속하기 전에 성취할 만한 게 있을 것이라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며 일단은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습니다.

반면 중국 측은 북한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미국이 먼저 전향적인 태도를 보여야 한다며 상반된 입장을 보였습니다.

장쥔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안보리 회의 시작 전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새 돌파구를 찾기 원한다면 진정성을 보이는 것은 물론 더 매력적이고 실용적이며 유연한 접근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에 "북한의 우려 사항을 수용하는 정책과 행동을 보이라"고 요구했습니다.

장 대사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안보리 차원에서 대응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안보리는 이미 이 문제를 협의 중"이라면서 "지금 문제는 우리가 어떤 식으로 상황을 통제하고, 긴장 고조의 악순환을 피하느냐는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지난달 30일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미국 등이 요청해 열린 이번 안보리 회의는 즉각적인 성과 없이 종료됐습니다.

북한의 유엔 제재 결의 위반을 비판하는 안보리 차원의 언론성명을 채택하기 위한 물밑 노력은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토머스-그린필드 대사는 "중국이 성명 초안을 베이징에 보냈다"며 본국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YTN 김원배 (wb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