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은 현대기아차의 엔진 결함으로 인한 화재와 관련해 특정 연식 차량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AP통신은 현지 시각 27일 "도로교통안전국이 6년 이상 현대차와 기아차를 괴롭혀온 다수의 엔진 화재에 대한 일련의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조사 대상은 2011∼2016년식의 현대 소나타, 소나타 Fe, 엘란트라와 기아 소렌토, 리오, 옵티마, 쏘울 등 모두 300만 대 이상입니다.
도로교통안전국은 현대기아차가 2015년 9월 엔진 결함 리콜을 한 이후 엔진 문제로 최소 8번 이상의 리콜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161건의 엔진 화재에 대한 신고를 접수했고, 이 가운데 일부는 이미 리콜된 차량에서 발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의 과거 리콜이 충분한 차량을 대상으로 했는지를 평가하고, 리콜이 효과적이었는지도 점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P통신은 현지 시각 27일 "도로교통안전국이 6년 이상 현대차와 기아차를 괴롭혀온 다수의 엔진 화재에 대한 일련의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조사 대상은 2011∼2016년식의 현대 소나타, 소나타 Fe, 엘란트라와 기아 소렌토, 리오, 옵티마, 쏘울 등 모두 300만 대 이상입니다.
도로교통안전국은 현대기아차가 2015년 9월 엔진 결함 리콜을 한 이후 엔진 문제로 최소 8번 이상의 리콜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161건의 엔진 화재에 대한 신고를 접수했고, 이 가운데 일부는 이미 리콜된 차량에서 발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의 과거 리콜이 충분한 차량을 대상으로 했는지를 평가하고, 리콜이 효과적이었는지도 점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