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출처 = GettyImagesBank
AD
아르헨티나 상원이 매년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제정하기로 했다. 그러나 현지에서는 코로나19 사태와 빈곤 문제 등 더 시급한 사안이 많은 상황에서 김치의 날 제정이 적절하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 6일(현지 시각) 아르헨티나 상원은 김치의 날 제정 결의안을 47명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하원 표결, 대통령 서명 등을 거치면 김치의 날은 공식 기념일이 된다.
11월 22일은 한국김치협회가 주도해 만들어진 김치의 날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법정 기념일로 지정됐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도 이날을 김치의 날로 제정해 화제가 됐다.
아르헨티나 김치의 날 제정을 주도한 마그달레나 솔라리 킨타나 상원의원은 표결에 앞서 약 11분간 김치에 대한 연설을 진행했다.
솔라리 킨타나 의원은 "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보물이자 상징이며, 우리가 한국과 수교를 시작한 지도 59년이 지났다"며 한국과의 우호 강화를 위해 김치의 날을 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솔라리 킨타나 의원은 김치의 효능과 김치를 만드는 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했다.
그러나 김치의 날 제정에 대해 현지 언론과 온라인에서는 일부 비판 여론이 나왔다.
아르헨티나 일간 클라린은 "솔라리 킨타나 의원은 1년 반 만에 열린 대면 회의에서 한국 요리인 김치에 대해 연설했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 빈곤, 코로나19 등의 문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상원이 김치의 날 제정에 긴 시간을 할애했다는 것이다.
현지 누리꾼들은 트위터를 통해 "김치를 좋아하지만 이게 꼭 필요했나", "아르헨티나 인구 절반은 빈곤에 시달리고 있고 실업률은 11%인 상황에서 상원이 김치의 날 법안을 가결했다" 등의 비판 댓글을 달기도 했다.
YTN digital 문지영 (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 6일(현지 시각) 아르헨티나 상원은 김치의 날 제정 결의안을 47명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하원 표결, 대통령 서명 등을 거치면 김치의 날은 공식 기념일이 된다.
11월 22일은 한국김치협회가 주도해 만들어진 김치의 날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법정 기념일로 지정됐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도 이날을 김치의 날로 제정해 화제가 됐다.
아르헨티나 김치의 날 제정을 주도한 마그달레나 솔라리 킨타나 상원의원은 표결에 앞서 약 11분간 김치에 대한 연설을 진행했다.
솔라리 킨타나 의원은 "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보물이자 상징이며, 우리가 한국과 수교를 시작한 지도 59년이 지났다"며 한국과의 우호 강화를 위해 김치의 날을 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솔라리 킨타나 의원은 김치의 효능과 김치를 만드는 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했다.
그러나 김치의 날 제정에 대해 현지 언론과 온라인에서는 일부 비판 여론이 나왔다.
아르헨티나 일간 클라린은 "솔라리 킨타나 의원은 1년 반 만에 열린 대면 회의에서 한국 요리인 김치에 대해 연설했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 빈곤, 코로나19 등의 문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상원이 김치의 날 제정에 긴 시간을 할애했다는 것이다.
현지 누리꾼들은 트위터를 통해 "김치를 좋아하지만 이게 꼭 필요했나", "아르헨티나 인구 절반은 빈곤에 시달리고 있고 실업률은 11%인 상황에서 상원이 김치의 날 법안을 가결했다" 등의 비판 댓글을 달기도 했다.
YTN digital 문지영 (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