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미국 조지아에 있는 마사지숍 세 곳에서 연쇄 총격이 일어나 8명이 숨진 사건을 두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용의자가 소셜 미디어에 중국에 대한 증오를 나타냈고 피해자 대부분이 아시아계였지만 경찰은 범행 동기로 성중독 가능성을 제기한 겁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여진 기자!
범행 동기가 성중독일 가능성이 있다는 게 무슨 얘기입니까?
[기자]
조지아주 마사지숍 세 곳에서 총기를 난사해 8명을 숨지게 한 21살 로버트 에런 롱은 자신의 범행은 인종 혐오와 관련이 없고 성적인 욕망과 관련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용의자가 마사지숍이 자신을 성적으로 유혹하는 것으로 여겨 이를 제거하려 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입니다. 들어보시죠.
[제이 베이커 / 조지아주 체로키 카운티 보안관 : 그는 인종적으로 동기가 있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자신이 생각하는 것처럼 성중독이라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범행 장소들은 그를 가게끔 하는 곳으로 보고 있고 그에게는 없애고 싶었던 유혹의 대상입니다.]
경찰은 롱이 추가 범행을 위해 플로리다로 갈 계획이었다고도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CNN은 용의자가 성 중독으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음란물을 몇 시간씩 보는 바람에 최근 집에서도 쫓겨났다고 보도했습니다.
2019년 8월부터 2020년 초까지 재활 시설에서 롱과 함께 생활했다던 타일러 베일리스는 롱이 성중독 문제로 괴로워했다며 성행위를 위해 마사지숍에 갔던 사실을 자신에게 털어놨다고 CNN에 말했습니다.
하지만 애틀랜타 시장은 해당 마사지숍이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며 경찰 단속망에 올라 있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희생자들을 비난하거나 수치심이 들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피해자들이 자신을 유혹해서 어쩔 수 없이 범행을 했다는 건 용의자의 변명이며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가 될 수 있는 만큼 차단하겠다는 발언으로 보입니다.
[앵커]
용의자 SNS를 보면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데요. 경찰 발표에 대한 사람들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로버트 애런 롱이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보면 중국에 대한 분노로 가득 차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중국이 코로나19 조사를 위해 우한 연구소에 들어가려는 조사단을 막았다면서 미국인 50만 명을 죽여 전 세계를 지배하려는 게 중국의 계획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중국을 '이 시대 최대 악'으로 규정하며 미국이 이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롱이 처음 범행을 저질렀던 '영스 아시안 마사지숍'도 중국계가 운영하는 업소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성중독은 핑계일 뿐 실제 동기는 아시안 혐오 때문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습니다.
[프레드 모리스 / 애틀랜타 거주 : 용의자가 성중독 때문이라고 했는데 사실이 아니라는 걸 우리 모두 알고 있죠.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말하고 중국인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게 온 나라에 퍼져 있고 이 때문에 아시아인을 공격하는 건 잘못된 일입니다.]
시카고 트리뷴은 '애틀랜타 총격사건 용의자의 일진 사나운 날과 백인 범죄에 대한 눈가림'이라는 칼럼에서 경찰이 용의자의 대변인 역할을 했다고 꼬집었습니다.
백인 남성인 체로키 카운티 보안관실 대변인이 "어제는 용의자에게 일진 사나운 날이었다"고 언급한 점이나 용의자의 성중독 가능성을 거론한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칼럼은 성중독이라는 말 자체가 인종차별과 여성 혐오에 대한 진지한 논의 자체를 날려버리는 쓸데없는 표현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앵커]
이번 사건으로 큰 충격에 빠졌을 한인 사회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최근 들어 아시아계를 표적으로 삼은 혐오 범죄가 늘고 있는 가운데 한인 4명이 희생되는 총격 사건까지 발생해 충격을 받은 모습입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한인회는 성명을 내고 아시아계가 운영하는 업소만 표적 삼은 걸 볼 때 아시안 증오 범죄가 명백하다며 이번 사건을 증오 범죄로 수사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범인이 성 중독에 빠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언론이 전하는 데 대해선 증오 범죄 가능성을 애써 감추는 행태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계 미국 연방 하원의원들도 경찰의 초동 수사 결과를 비판하며 이번 사건을 증오 범죄로 다룰 것을 촉구했습니다.
[앵커]
미국 정치권도 같은 반응인가요?
[기자]
미국 정치인들은 범행 동기가 어찌 됐든 인종 혐오 범죄는 중단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규탄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매우 염려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 이번 사건의 범행 동기가 무엇이든 간에 아시아계 미국인이 매우 우려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지난 몇 달간 아시아계 미국인을 향한 범죄의 잔혹함에 대해 제가 말해왔고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범행 동기가 아직 분명하지는 않지만 미국인 모두 어떤 형태의 증오에 대해서도 침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도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폭력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YTN 이여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조지아에 있는 마사지숍 세 곳에서 연쇄 총격이 일어나 8명이 숨진 사건을 두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용의자가 소셜 미디어에 중국에 대한 증오를 나타냈고 피해자 대부분이 아시아계였지만 경찰은 범행 동기로 성중독 가능성을 제기한 겁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여진 기자!
범행 동기가 성중독일 가능성이 있다는 게 무슨 얘기입니까?
[기자]
조지아주 마사지숍 세 곳에서 총기를 난사해 8명을 숨지게 한 21살 로버트 에런 롱은 자신의 범행은 인종 혐오와 관련이 없고 성적인 욕망과 관련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용의자가 마사지숍이 자신을 성적으로 유혹하는 것으로 여겨 이를 제거하려 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입니다. 들어보시죠.
[제이 베이커 / 조지아주 체로키 카운티 보안관 : 그는 인종적으로 동기가 있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자신이 생각하는 것처럼 성중독이라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범행 장소들은 그를 가게끔 하는 곳으로 보고 있고 그에게는 없애고 싶었던 유혹의 대상입니다.]
경찰은 롱이 추가 범행을 위해 플로리다로 갈 계획이었다고도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CNN은 용의자가 성 중독으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고 음란물을 몇 시간씩 보는 바람에 최근 집에서도 쫓겨났다고 보도했습니다.
2019년 8월부터 2020년 초까지 재활 시설에서 롱과 함께 생활했다던 타일러 베일리스는 롱이 성중독 문제로 괴로워했다며 성행위를 위해 마사지숍에 갔던 사실을 자신에게 털어놨다고 CNN에 말했습니다.
하지만 애틀랜타 시장은 해당 마사지숍이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며 경찰 단속망에 올라 있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희생자들을 비난하거나 수치심이 들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피해자들이 자신을 유혹해서 어쩔 수 없이 범행을 했다는 건 용의자의 변명이며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가 될 수 있는 만큼 차단하겠다는 발언으로 보입니다.
[앵커]
용의자 SNS를 보면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데요. 경찰 발표에 대한 사람들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로버트 애런 롱이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보면 중국에 대한 분노로 가득 차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중국이 코로나19 조사를 위해 우한 연구소에 들어가려는 조사단을 막았다면서 미국인 50만 명을 죽여 전 세계를 지배하려는 게 중국의 계획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중국을 '이 시대 최대 악'으로 규정하며 미국이 이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롱이 처음 범행을 저질렀던 '영스 아시안 마사지숍'도 중국계가 운영하는 업소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성중독은 핑계일 뿐 실제 동기는 아시안 혐오 때문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습니다.
[프레드 모리스 / 애틀랜타 거주 : 용의자가 성중독 때문이라고 했는데 사실이 아니라는 걸 우리 모두 알고 있죠.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말하고 중국인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게 온 나라에 퍼져 있고 이 때문에 아시아인을 공격하는 건 잘못된 일입니다.]
시카고 트리뷴은 '애틀랜타 총격사건 용의자의 일진 사나운 날과 백인 범죄에 대한 눈가림'이라는 칼럼에서 경찰이 용의자의 대변인 역할을 했다고 꼬집었습니다.
백인 남성인 체로키 카운티 보안관실 대변인이 "어제는 용의자에게 일진 사나운 날이었다"고 언급한 점이나 용의자의 성중독 가능성을 거론한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칼럼은 성중독이라는 말 자체가 인종차별과 여성 혐오에 대한 진지한 논의 자체를 날려버리는 쓸데없는 표현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앵커]
이번 사건으로 큰 충격에 빠졌을 한인 사회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최근 들어 아시아계를 표적으로 삼은 혐오 범죄가 늘고 있는 가운데 한인 4명이 희생되는 총격 사건까지 발생해 충격을 받은 모습입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한인회는 성명을 내고 아시아계가 운영하는 업소만 표적 삼은 걸 볼 때 아시안 증오 범죄가 명백하다며 이번 사건을 증오 범죄로 수사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범인이 성 중독에 빠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언론이 전하는 데 대해선 증오 범죄 가능성을 애써 감추는 행태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계 미국 연방 하원의원들도 경찰의 초동 수사 결과를 비판하며 이번 사건을 증오 범죄로 다룰 것을 촉구했습니다.
[앵커]
미국 정치권도 같은 반응인가요?
[기자]
미국 정치인들은 범행 동기가 어찌 됐든 인종 혐오 범죄는 중단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규탄했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매우 염려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 이번 사건의 범행 동기가 무엇이든 간에 아시아계 미국인이 매우 우려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지난 몇 달간 아시아계 미국인을 향한 범죄의 잔혹함에 대해 제가 말해왔고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범행 동기가 아직 분명하지는 않지만 미국인 모두 어떤 형태의 증오에 대해서도 침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도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폭력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YTN 이여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