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속 한국 고대사를 찾아서...재일동포 작가 김달수가 남긴 것

일본 속 한국 고대사를 찾아서...재일동포 작가 김달수가 남긴 것

2020.12.26. 오전 06:3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지금도 일본 곳곳에는 오랜 옛날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새로운 문화를 뿌리내린 사람들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그 숨은 역사를 일본 사회에 알린 주역 중 한 사람이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재일동포 작가 김달수 선생인데요.

그의 발자취를 기리는 전시회 현장에 이경아 특파원이 다녀왔습니다.

[기자]
일본 가나가와현 미시마 신사에 남아있는 비석입니다.

'고려'라는 성을 가진 사람들의 이름이 빼곡하게 남아있습니다.

재일동포 작가 김달수 선생은 1970년대부터 일본 각지에 남아있는 한국 고대사의 흔적을 쫓았습니다.

[김달수 / 재일동포 작가 겸 역사가 (다큐 '신들의 이력서' 중) : 이게 고려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가계도군요. 한국에서는 이걸 '족보'라고 부릅니다.]

라디오에서 우연히 흘러나온 우리 민요 가락에 눈물 흘렸다는 감상부터 어색한 한글까지.

당시의 취재 노트 곳곳에는 절절한 모국애가 담겨 있습니다.

 20여 년에 걸친 필생의 작업은 '일본 속의 조선 문화'라는 12권 전집에 담겨 당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사이조 아키라 / 관람객 : 제가 옛날에 읽었던 책들과 아는 내용을 떠올리면서 아 60년대는 이랬었지 70년대는 이랬지...하면서 (전시를 봤습니다)]

고대 한반도에서 건너온 사람들은 차별적 의미가 담긴 '귀화인'으로 불렸지만 김 선생의 주창으로 '도래인'으로 바뀌었습니다.

[와다 아키코 / 가나가와근대문학관 전시과 : 언제나 한국과 일본을 대등한 관계로 만들어 가고 싶다는 생각을 생애에 걸쳐 일관되게 추구해 간 분입니다.]

소설가로서 남긴 대표작 '현해탄'과 '박달의 재판'은 권위 있는 일본 문학상인 아쿠타가와 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재일동포의 아픔뿐 아니라 이념 사이에 갈등하는 인간 군상을 해학적으로 그려 공감을 이끌어 냈습니다.

[히로세 요이치 /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 당시 한국의 문제를 일본 사회에 널리 알린 것이 작가 김달수의 가장 큰 공헌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인과 한국인의 관계를 인간적인 것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 생애였습니다.]

수교 이래 최악이라는 한일 관계 속에 평생에 걸쳐 양국의 이해와 화해의 길을 모색한 그의 전시가 열린 것은 의미가 각별합니다.

실천하는 지식인으로 격동의 현대사를 살았던 김달수 그의 발자취는 지금도 일본 사회 곳곳에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가나가와에서 YTN 이경아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