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 김정은 정권이 핵 도발을 감행한다면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같은 직접적인 타격보다는 전자기탄, EMP탄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미국의 핸리 쿠퍼 전 전략방위구상 국장은 오늘 월스트리트저널 기고문에서 미국과 핵전쟁을 일으키겠다는 북한의 바람을 결코 축소 평가하거나 무시해서는 안 된다면서 이같이 지적했습니다.
핵 전자기탄은 핵탄두를 공중에서 폭발시켜 해당 지역의 전력 회로망과 컴퓨터망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전자장비를 파괴하거나 마비시킬 수 있는 강력한 전자파를 순식간에 분출하는 무기입니다.
쿠퍼 전 국장은 이어 북한의 위험은 남한, 그리고 약 2만8천 명의 주한미군에게는 직접적이라며 가장 가능성 큰 공격 형태로 핵 전자기탄, EMP탄을 꼽았습니다.
쿠퍼 전 국장은 특히 미국 의회 EMP위원회 조사를 통해 2004년 러시아의 EMP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불과 몇 년이면 북한이 EMP 기술도 확보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의 핸리 쿠퍼 전 전략방위구상 국장은 오늘 월스트리트저널 기고문에서 미국과 핵전쟁을 일으키겠다는 북한의 바람을 결코 축소 평가하거나 무시해서는 안 된다면서 이같이 지적했습니다.
핵 전자기탄은 핵탄두를 공중에서 폭발시켜 해당 지역의 전력 회로망과 컴퓨터망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전자장비를 파괴하거나 마비시킬 수 있는 강력한 전자파를 순식간에 분출하는 무기입니다.
쿠퍼 전 국장은 이어 북한의 위험은 남한, 그리고 약 2만8천 명의 주한미군에게는 직접적이라며 가장 가능성 큰 공격 형태로 핵 전자기탄, EMP탄을 꼽았습니다.
쿠퍼 전 국장은 특히 미국 의회 EMP위원회 조사를 통해 2004년 러시아의 EMP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면서 불과 몇 년이면 북한이 EMP 기술도 확보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