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러시아에서 20년 가까이 도피 생활을 해온 북한인 노동자가 러시아 경찰에 체포돼 북한으로 강제 송환될 위기에 처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온라인 신문 폰타카는 이 도시에서 숨어 지내던 최명복이란 북한 노동자가 최근 현지 경찰에 체포됐고 러시아 법원은 그의 송환 판결을 내렸다고 보도했습니다.
최 씨는 러시아 극동 연해주에 파견돼 일하다 지난 1999년 일터에서 도주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동한 뒤 그곳에서 당국의 감시를 피해 생활해 오다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 씨 송환에 관한 법원의 결정은 오는 10일 집행될 예정으로 그는 현재 외국인 불법 체류자 수용소에 억류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러시아 인권단체 '메모리알'은 최 씨의 송환을 막기 위해 항소를 추진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유럽인권재판소에도 최 씨 보호 신청을 했다고 이 단체 소속 변호사가 밝혔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은 지난해 2월 불법입국자와 불법체류자 수용과 송환에 관한 협정을 체결해 북한이 러시아에 도피 중인 탈북자들을 넘겨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온라인 신문 폰타카는 이 도시에서 숨어 지내던 최명복이란 북한 노동자가 최근 현지 경찰에 체포됐고 러시아 법원은 그의 송환 판결을 내렸다고 보도했습니다.
최 씨는 러시아 극동 연해주에 파견돼 일하다 지난 1999년 일터에서 도주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동한 뒤 그곳에서 당국의 감시를 피해 생활해 오다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 씨 송환에 관한 법원의 결정은 오는 10일 집행될 예정으로 그는 현재 외국인 불법 체류자 수용소에 억류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러시아 인권단체 '메모리알'은 최 씨의 송환을 막기 위해 항소를 추진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유럽인권재판소에도 최 씨 보호 신청을 했다고 이 단체 소속 변호사가 밝혔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은 지난해 2월 불법입국자와 불법체류자 수용과 송환에 관한 협정을 체결해 북한이 러시아에 도피 중인 탈북자들을 넘겨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