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과연 브렉시트가 뭐길래 영국 사회가 이처럼 분열하는 걸까요?
브렉시트는 영국을 의미하는 Britain과 퇴장을 뜻하는 Exit이 합쳐진 단어로,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의미합니다.
유럽연합은 1993년 출범해 현재는 28개 나라가 가입해 있습니다.
유로화라는 단일 통화까지 도입하며 유럽의 경제 발전을 위해 회원국들이 똘똘 뭉치기로 했는데요.
하지만 영국은 가입 초반부터 그리 적극적이진 않았습니다.
영국이 아직도 유로화가 아니라 독자 화폐인 파운드를 고집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다 몇 년 전 그리스와 스페인 등 일부 유럽 국가들이 경제적 위기를 겪으며 유럽연합의 재정 위기가 심각해진 게 브렉시트 고민의 도화선이 됐습니다.
이들 국가를 지원하느라 영국이 유럽연합에 매년 30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돈을 붓고 있는데 정작 혜택은 별로 없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여기에 유럽 연합 정책에 따라 난민을 대거 받아들여야 하는 것도 부담이 됐습니다.
결국, 영국은 오는 23일 유럽연합 탈퇴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하기로 했는데요.
투표 전부터 극한 분열로 치달으며 홍역을 치르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브렉시트는 영국을 의미하는 Britain과 퇴장을 뜻하는 Exit이 합쳐진 단어로,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의미합니다.
유럽연합은 1993년 출범해 현재는 28개 나라가 가입해 있습니다.
유로화라는 단일 통화까지 도입하며 유럽의 경제 발전을 위해 회원국들이 똘똘 뭉치기로 했는데요.
하지만 영국은 가입 초반부터 그리 적극적이진 않았습니다.
영국이 아직도 유로화가 아니라 독자 화폐인 파운드를 고집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러다 몇 년 전 그리스와 스페인 등 일부 유럽 국가들이 경제적 위기를 겪으며 유럽연합의 재정 위기가 심각해진 게 브렉시트 고민의 도화선이 됐습니다.
이들 국가를 지원하느라 영국이 유럽연합에 매년 30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돈을 붓고 있는데 정작 혜택은 별로 없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여기에 유럽 연합 정책에 따라 난민을 대거 받아들여야 하는 것도 부담이 됐습니다.
결국, 영국은 오는 23일 유럽연합 탈퇴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하기로 했는데요.
투표 전부터 극한 분열로 치달으며 홍역을 치르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