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소녀상 이전, 10억 엔 출연 전제 조건"...韓 "완전 날조"

日 "소녀상 이전, 10억 엔 출연 전제 조건"...韓 "완전 날조"

2015.12.30. 오후 3:5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일본 정부의 언론 플레이가 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한국의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일본이 지원금 10억 엔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해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터무니없는 날조"라고 반박했습니다.

도쿄에서 최명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요미우리 신문의 1면 머리기사입니다.

"일본이 조기에 소녀상을 철거할 것을 요청했고 한국이 긍정적으로 반응했다"는 내용입니다.

지난 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앞두고 열린 막판 교섭에서 일본 정부가 한국이 설립할 재단에 10억 엔을 내기 전에 소녀상을 철거해달라고 요청하자 한국 정부가 이해를 표시했다는 것입니다.

양국이 소녀상 이전과 기금 10억 엔을 맞바꿨다는 인상을 줄 수 있는 민감한 내용입니다.

아사히 신문도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으로부터 소녀상에 관한 비공식 승인을 얻었다고 판단한 것이 이번 합의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가 기시다 외무상에게 "합의된 것은 확실히 이행되어야 한다"고 지시한 것이 소녀상 이전을 염두에 둔 발언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지난 28일 기자회견에서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이 같은 보도에 대해 "있을 수도 없고 말도 안 되는 터무니없는 얘기"라며 "완전 날조"라고 반박했습니다.

한일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일본 정부는 협상 과정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국가 간의 신의를 무시하고 소녀상 이전 등 민감한 사안을 무차별적으로 언론에 흘리고 있습니다.

특히 아베 총리는 "이번에 약속을 어기면 한국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끝난다"는 막말까지 서슴지 않는 등 합의가 파행을 겪게 될 경우 모든 책임을 한국에 전가하려는 행태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제대로 된 항의나 충분한 설명 없이 사실무근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어 일본의 언론 플레이에 일방적으로 밀리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