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슈카가 28일 유튜브 라이브 도중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 조롱 목적으로 만들어진 WHO 합성 이미지를 사용해 파문이 일고 있다 /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 캡처
AD
구독자 361만 명을 보유한 경제·시사 유튜버 슈카월드(본명 전석재)가 생방송 도중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조롱하는 합성 이미지를 사용해 파문이 일고 있다.
슈카는 지난 28일 진행한 라이브 방송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연이은 국제기구 탈퇴 사례를 다루며 유네스코와 세계보건기구(WHO) 로고를 화면에 띄웠다. 그러나 이때 사용된 WHO 로고는 공식 이미지가 아닌 합성된 로고였다. 문제의 이미지에는 WHO 상징인 세계지도 대신 노 전 대통령 얼굴과 개 등의 실루엣이 들어가 있었다.
이 합성 로고는 온라인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베는 그동안 노 전 대통령을 조롱할 목적으로 각종 기관 로고를 변형·유포해 왔으며, 방송사와 공공기관 등이 이를 모르고 사용했다가 사과한 사례가 과거에도 있었다.
논란이 불거지자, 슈카월드는 해당 영상을 채널에서 삭제했으나 현재까지 별도의 공식 사과는 내놓지 않은 상태다.
앞서 슈카는 지난 7월에도 동해가 '일본해(Sea of Japan)'로 표기된 지도를 방송 자료로 사용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그는 "일본 측 자료를 쓰다 나온 실수"라며 즉각 사과문을 게재하고 대한적십자사에 3,000만 원을 기부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슈카는 지난 28일 진행한 라이브 방송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연이은 국제기구 탈퇴 사례를 다루며 유네스코와 세계보건기구(WHO) 로고를 화면에 띄웠다. 그러나 이때 사용된 WHO 로고는 공식 이미지가 아닌 합성된 로고였다. 문제의 이미지에는 WHO 상징인 세계지도 대신 노 전 대통령 얼굴과 개 등의 실루엣이 들어가 있었다.
이 합성 로고는 온라인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베는 그동안 노 전 대통령을 조롱할 목적으로 각종 기관 로고를 변형·유포해 왔으며, 방송사와 공공기관 등이 이를 모르고 사용했다가 사과한 사례가 과거에도 있었다.
논란이 불거지자, 슈카월드는 해당 영상을 채널에서 삭제했으나 현재까지 별도의 공식 사과는 내놓지 않은 상태다.
앞서 슈카는 지난 7월에도 동해가 '일본해(Sea of Japan)'로 표기된 지도를 방송 자료로 사용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그는 "일본 측 자료를 쓰다 나온 실수"라며 즉각 사과문을 게재하고 대한적십자사에 3,000만 원을 기부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