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해, 경기도 화성에 있는 배터리 공장에서 불이 나 노동자 23명이 숨진 '아리셀 참사'의 사고 책임자에 대한 1심 선고 재판이 열립니다.
검찰은 박순관 아리셀 대표에게 징역 20년의 중형을 구형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표정우 기자! 오늘 선고 공판은 몇 시에 열리나요?
[기자]
오늘 오후 2시 수원지방법원에서 아리셀 박순관 대표와 아들 박중언 총괄본부장 등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이 진행됩니다.
박순관 대표는 공장의 위험 요인을 점검하지 않고, 중대재해 대비 매뉴얼을 마련하지 않는 등 최고 책임자로서 의무를 다하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박 대표의 아들인 박중언 총괄본부장은 배터리 관리를 소홀히 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등 기본 안전 의무를 위반해 대형 인명 사고를 일으킨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 결과, 아리셀은 지난 2020년 5월 사업 시작 이후 매년 적자가 발생하자 불법 파견받은 비숙련 노동력을 투입해 무리하게 생산을 감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박 총괄본부장 등이 생산 편의를 위해 방화용 벽을 임의로 철거하고, 대피 경로에 가벽을 설치해 피해를 키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검찰은 박순관 대표에게 징역 20년을 구형했다고요?
[기자]
박 대표에게는 징역 20년을, 박 총괄본부장에게는 징역 15년을 구형했습니다.
검찰은 이들이 파견 근로자를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해 죄질이 불량하다며 구형 사유를 설명했습니다.
특히 검찰은 박 대표가 안전관리 구축을 포기하고, 사람 목숨보다 이윤을 앞세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박 대표 측은 법리적으로 검토해 책임에 비례하는 형벌이 내려지길 바란다고 최후변론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6월 24일 경기도 화성에 있는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근로자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습니다.
화재로 숨진 23명 가운데 20명이 파견근로자였으며, 사망자 대부분이 입사 3~8개월 만에 사고를 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표정우입니다.
영상편집: 문지환
YTN 표정우 (pyojw032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해, 경기도 화성에 있는 배터리 공장에서 불이 나 노동자 23명이 숨진 '아리셀 참사'의 사고 책임자에 대한 1심 선고 재판이 열립니다.
검찰은 박순관 아리셀 대표에게 징역 20년의 중형을 구형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표정우 기자! 오늘 선고 공판은 몇 시에 열리나요?
[기자]
오늘 오후 2시 수원지방법원에서 아리셀 박순관 대표와 아들 박중언 총괄본부장 등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이 진행됩니다.
박순관 대표는 공장의 위험 요인을 점검하지 않고, 중대재해 대비 매뉴얼을 마련하지 않는 등 최고 책임자로서 의무를 다하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박 대표의 아들인 박중언 총괄본부장은 배터리 관리를 소홀히 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등 기본 안전 의무를 위반해 대형 인명 사고를 일으킨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검찰 수사 결과, 아리셀은 지난 2020년 5월 사업 시작 이후 매년 적자가 발생하자 불법 파견받은 비숙련 노동력을 투입해 무리하게 생산을 감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박 총괄본부장 등이 생산 편의를 위해 방화용 벽을 임의로 철거하고, 대피 경로에 가벽을 설치해 피해를 키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검찰은 박순관 대표에게 징역 20년을 구형했다고요?
[기자]
박 대표에게는 징역 20년을, 박 총괄본부장에게는 징역 15년을 구형했습니다.
검찰은 이들이 파견 근로자를 안전 사각지대에 방치해 죄질이 불량하다며 구형 사유를 설명했습니다.
특히 검찰은 박 대표가 안전관리 구축을 포기하고, 사람 목숨보다 이윤을 앞세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박 대표 측은 법리적으로 검토해 책임에 비례하는 형벌이 내려지길 바란다고 최후변론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6월 24일 경기도 화성에 있는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근로자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습니다.
화재로 숨진 23명 가운데 20명이 파견근로자였으며, 사망자 대부분이 입사 3~8개월 만에 사고를 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표정우입니다.
영상편집: 문지환
YTN 표정우 (pyojw032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