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벌초나 성묘 계획 있으신 분들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주의하셔야겠습니다.
환자 대부분 가을철에 발생하는데, 일부 질환은 치명률도 높습니다.
김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쓰쓰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입니다.
쓰쓰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리면 감염됩니다.
고열과 오한, 검은 딱지 등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지난해에만 6천 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감염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렸을 때 감염됩니다.
고열과 구토 등이 증상인데,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사망률이 18.5%에 달합니다.
이 두 가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74%는 9월에서 11월 사이 발생했습니다.
벌초나 성묘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와 겹치는 겁니다.
질병관리청은 야외활동을 할 때는 긴 옷을 입고, 기피제를 사용해야 하며 귀가 뒤에는 바로 옷을 세탁하고 씻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또 야외활동 후 2주 안에 발열이나 구토 등 감기몸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김준영입니다.
YTN 김준영 (e-manso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벌초나 성묘 계획 있으신 분들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주의하셔야겠습니다.
환자 대부분 가을철에 발생하는데, 일부 질환은 치명률도 높습니다.
김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쓰쓰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입니다.
쓰쓰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리면 감염됩니다.
고열과 오한, 검은 딱지 등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지난해에만 6천 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감염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렸을 때 감염됩니다.
고열과 구토 등이 증상인데,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사망률이 18.5%에 달합니다.
이 두 가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74%는 9월에서 11월 사이 발생했습니다.
벌초나 성묘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와 겹치는 겁니다.
질병관리청은 야외활동을 할 때는 긴 옷을 입고, 기피제를 사용해야 하며 귀가 뒤에는 바로 옷을 세탁하고 씻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또 야외활동 후 2주 안에 발열이나 구토 등 감기몸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김준영입니다.
YTN 김준영 (e-manso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