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제공
AD
세계 최대 검색사이트 구글이 국내 일부 지역 날씨 서비스에서 일본해를 동해보다 먼저 표기해 논란이 되고 있다.
7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구글의 '일본해(동해)' 표기 캡처 사진을 공유하며 "최근 휴가철을 맞아 동해안 지역으로 휴가를 떠난 많은 누리꾼이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분명 국내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구글 날씨 알림 서비스에서는 '일본해(동해)'로 버젓이 표기를 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기존 국가별로 이견이 있는 명칭에 대해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표기법을 따르도록 한다. 동해의 경우 한국에서 구글 지도를 사용할 경우에는 '동해'로, 일본에서 접속할 땐 '일본해'로 표기가 되야 하는데 이번 표기는 자체 관례도 어긴 상황이다.
서 교수는 "구글이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라면 해당 국가의 기본적인 정서는 제대로 파악을 할 줄 알아야 하는데 이를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하며 "이젠 우리 정부에서도 구글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과거 지도 서비스에서 '독도'를 검색해도 아무런 내용이 뜨지 않아 논란이 된 바 있다. 지금도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 '독도'를 검색하면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하는 행태를 고수하고 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7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구글의 '일본해(동해)' 표기 캡처 사진을 공유하며 "최근 휴가철을 맞아 동해안 지역으로 휴가를 떠난 많은 누리꾼이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분명 국내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구글 날씨 알림 서비스에서는 '일본해(동해)'로 버젓이 표기를 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기존 국가별로 이견이 있는 명칭에 대해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표기법을 따르도록 한다. 동해의 경우 한국에서 구글 지도를 사용할 경우에는 '동해'로, 일본에서 접속할 땐 '일본해'로 표기가 되야 하는데 이번 표기는 자체 관례도 어긴 상황이다.
서 교수는 "구글이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라면 해당 국가의 기본적인 정서는 제대로 파악을 할 줄 알아야 하는데 이를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하며 "이젠 우리 정부에서도 구글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구글은 과거 지도 서비스에서 '독도'를 검색해도 아무런 내용이 뜨지 않아 논란이 된 바 있다. 지금도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 '독도'를 검색하면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하는 행태를 고수하고 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