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이 남북 공유하천인 임진강 상류에 있는 황강댐에서 물을 방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환경부가 밝혔습니다.
환경부는 오늘 낮 촬영한 위성영상을 분석한 결과 황강댐 하류 하천 폭이 넓어진 것을 확인했는데, 이번에도 북한의 사전 통보는 없었습니다.
환경부는 황강댐 방류로 임진강 수위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모니터링을 강화해 행락객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은 지난 2009년 9월 북한의 황강댐 방류로 임진강 하류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같은 해 10월 방류 시 사전에 통보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2013년을 마지막으로, 우리의 반복된 요청에도 통보하지 않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말에도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황강댐 방류 시 사전 통보를 해달라고 북한에 요청했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환경부는 오늘 낮 촬영한 위성영상을 분석한 결과 황강댐 하류 하천 폭이 넓어진 것을 확인했는데, 이번에도 북한의 사전 통보는 없었습니다.
환경부는 황강댐 방류로 임진강 수위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모니터링을 강화해 행락객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은 지난 2009년 9월 북한의 황강댐 방류로 임진강 하류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같은 해 10월 방류 시 사전에 통보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2013년을 마지막으로, 우리의 반복된 요청에도 통보하지 않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말에도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황강댐 방류 시 사전 통보를 해달라고 북한에 요청했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