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 '집사 게이트' 관계자 소환조사 방침

김건희 특검, '집사 게이트' 관계자 소환조사 방침

2025.07.14. 오후 3:5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민중기 김건희 특별검사팀이 이른바 '집사 게이트'와 관련해 투자 회사 관계자들의 소환 조사를 예고하고 나섰습니다.

서울-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의혹과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와 관련해선 압수수색도 진행 중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준엽 기자, 김건희 특검이 이른바 '집사 게이트'로 불리는 의혹에 대해서도 본격 수사에 나섰다고요?

[기자]
네 '집사 게이트'의 골자는 대기업들이 김 여사 일가의 '집사'로 불렸던 김 모 씨 관련 업체에 투자하며 '오너 리스크'를 해소하려 했는지 입니다.

김 씨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IMS모빌리티가 당시 부실기업이었는데도 사모펀드를 끼고 184억 원 규모의 대가성 투자를 받은 거 아니냐는 건데요.

오정희 특검보는 조금 전 정례브리핑에서 사건 실체를 신속 규명하고, 증거인멸을 막기 위해 사모펀드에 투자한 기관과 회사의 최고 의사 결정권자들에 대한 소환조사를 이번 주부터 진행할 거라고 예고했습니다.

1차로 한국증권금융과 HS효성, 카카오모빌리티, 키움증권 측에 소환 통보 하고 소환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는데요.

현재 베트남 출국 중인 집사 김 씨에 대해서도 즉각 귀국해 수사에 협조하라고 촉구했고,

김 씨 명의를 숨기기 위한 차명 법인으로 의심받는 이노베스트코리아의 소유주, 김 씨 배우자도 신속히 특검에 소재와 연락처를 밝히고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요구했습니다.

[앵커]
동시다발 압수수색에도 나섰다고요?

[기자]
특검은 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 의혹과 관련해, 오늘 오전부터 국토부를 비롯한 10여 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 수색하고 있습니다.

고속도로 타당성 조사를 맡았던 용역업체 두 곳과 해당 업체 회장, 당시 업무를 담당했던 공무원 등이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다만 앞서 출국 금지됐던 원희룡 전 장관과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의 경우 압수수색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와 동시에 특검은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로 불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서도 추가 압수 수색에 나섰습니다.

세종시에 있는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해, 22대 총선 공천 과정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자료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앵커]
처음으로 구속영장 청구에도 나설 방침이라고요?

[기자]
네 오정희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오늘 1차로, 주가조작에 관여한 핵심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할 거라고 전했습니다.

김건희 특검팀이 강제 신병확보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검은 앞서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을 '1호 수사'로 규정했습니다.

그동안 주가조작 기업으로 지목된 삼부토건과 웰바이오텍 전·현직 경영진과 관계자를 연이어 소환 조사해 왔는데, 이제 주요 피의자와 참고인 조사는 일단락됐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김 여사도 특검 수사에 대비해 변호인단 보강을 마쳤다고요?

[기자]
네, 기존에 김 여사 측에선 최지우 변호사가 홀로 명품가방 수수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등 검찰 수사에 대응해 왔는데요.

김건희 특검 수사 대상에 오른 의혹이 16가지에 달하는 만큼, 그동안 변호인단 보강을 물색해 왔습니다.

이에 조금 전 오후 1시쯤, 이곳 특검 사무실에 유정화 변호사가 방문해, 자신과 최 변호사, 채명성 변호사의 선임계를 추가로 제출했습니다.

새로 선임된 두 변호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변호인단에도 소속돼, 최근 구속 심문 등에도 참여했었습니다.

지금까지 김건희 특검 사무실 앞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이준엽 (leej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