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제주 우도 한 해변에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설치됐다가 민원이 폭주해 철거되는 일이 벌어졌다.
13일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상에는 우도 하고수동해수욕장에서 이같은 모습이 포착된 영상이 다수 올라왔다.
영상에는 문제의 해안도로를 따라 태극기와 함께 오성홍기가 줄지어 꽂혀 있는 모습이 담겼다. 깃발 옆에는 피아노 한 대가, 바닥엔 연꽃 모형이 여러 개 놓여 있기도 했다.
영상을 게재한 누리꾼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이 앞에서 사진을 찍으려고 줄을 서 있다"며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외치면서 정작 우도는 중국에 내어주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제주가 중국인의 섬이 됐다", "중국인 밀집지에는 한자로 '여긴 중국 영토'라고 새기더니 이젠 국기를 꽂는다", "일장기가 꽂혀 있었다면 난리가 났을 텐데" 등 반응을 보이며 분노했다.
우도면 측은 해당 깃발을 개인이 설치한 것으로 보고, 현재는 모두 철거된 상태라고 전했다.
제주에서는 중국을 비롯한 외국인 관광객의 기초질서 위반이나 몰상식한 행위로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대로변에서 용변을 보는가 하면, 어린 자녀들을 화단 등에 용변을 보게 하는 모습이 여러 차례 포착돼 공분을 샀다.
앞서 지난해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편의점 등에 쓰레기를 무단 투기해 온라인에서 논란이 된 바 있다. 또, 중국인 여성이 버스 안에서 담배를 피우다 일부 승객의 항의에 담배 꽁초를 도로에 버렸다는 목격담이 전해지기도 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3일 소셜미디어(SNS) 등 온라인상에는 우도 하고수동해수욕장에서 이같은 모습이 포착된 영상이 다수 올라왔다.
영상에는 문제의 해안도로를 따라 태극기와 함께 오성홍기가 줄지어 꽂혀 있는 모습이 담겼다. 깃발 옆에는 피아노 한 대가, 바닥엔 연꽃 모형이 여러 개 놓여 있기도 했다.
영상을 게재한 누리꾼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이 앞에서 사진을 찍으려고 줄을 서 있다"며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외치면서 정작 우도는 중국에 내어주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제주가 중국인의 섬이 됐다", "중국인 밀집지에는 한자로 '여긴 중국 영토'라고 새기더니 이젠 국기를 꽂는다", "일장기가 꽂혀 있었다면 난리가 났을 텐데" 등 반응을 보이며 분노했다.
우도면 측은 해당 깃발을 개인이 설치한 것으로 보고, 현재는 모두 철거된 상태라고 전했다.
제주에서는 중국을 비롯한 외국인 관광객의 기초질서 위반이나 몰상식한 행위로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대로변에서 용변을 보는가 하면, 어린 자녀들을 화단 등에 용변을 보게 하는 모습이 여러 차례 포착돼 공분을 샀다.
앞서 지난해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편의점 등에 쓰레기를 무단 투기해 온라인에서 논란이 된 바 있다. 또, 중국인 여성이 버스 안에서 담배를 피우다 일부 승객의 항의에 담배 꽁초를 도로에 버렸다는 목격담이 전해지기도 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