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법원은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고 봤습니다.
법조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권준수 기자!
[기자]
네, 서울중앙지방법원입니다.
[앵커]
심사 결과가 5시간 만에 나왔죠?
[기자]
네, 심사가 끝난 지 5시간 만에 구속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고 봤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3월 구속이 취소되면서 석방됐는데요.
124일 만에 재구속됐습니다.
내란 특검이 수사에 착수한 지 22일 만이기도 합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한 만큼, 수사에 속도를 낼 거로 보입니다.
[앵커]
법원 청사는 현재 분위기 어떻습니까?
[기자]
네, 영장이 발부된 이후 경찰은 경비태세를 강화한 모습입니다.
결과가 나오기 전보다 더 촘촘하게 많은 인력이 근무를 서고 있는데요.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에서 첫 구속 영장이 발부됐을 당시 폭동이 발생했던 걸 비춰, 경찰은 기동대 30여 개 부대를 투입한 상황입니다.
[앵커]
어제 심사 과정도 전반적으로 정리해주시죠.
[기자]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심사가 어제 오후 2시 20분쯤 시작해서 약 6시간 40분 만인 오후 9시쯤 끝났습니다.
심문이 길어지면서 중간에 저녁 식사시간도 가졌고, 이후 재개된 심문에선 양측의 최후 진술이 있었습니다.
윤 전 대통령도 직접 20분가량 목소리를 냈는데요.
지난해 12월 계엄의 정당성을 다시 언급하며, 체포영장 집행 방해 등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한 거로 알려졌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법원을 빠져나올 땐 취재진 질문이 이어졌지만,
묵묵부답이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윤석열 / 전 대통령 : (2번째 구속 심사받으셨는데 심경 어떠신가요?) …. (오늘 직접 말씀하셨나요? 소명은 직접 하셨나요?) ….]
앞서 윤 전 대통령은 남색 정장에 붉은색 넥타이 차림으로 이번 심사에 출석했는데요.
특검은 영장심사가 열리는 동안 321호 법정 옆 대기실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인장을 집행했습니다.
[앵커]
특검에선 구속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상당히 많이 준비를 했죠?
[기자]
네, 어제 심사엔 박억수 특검보와 조재철 부장 검사 등 10명이 참여했는데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필요성을 재판부에 소명하기 위해 PPT 178장 분량의 자료를 준비했습니다.
한 장에 1분씩만 계산해도 3시간가량인데요.
비화폰 통화 내역 삭제 정황 등을 비춰 증거를 없앨 우려를 강조했을 거로 보입니다.
또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경호처에 체포 저지를 지시한 적이 있는 만큼 법을 경시하는 태도가 있다며 도망칠 염려가 있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앵커]
오늘 법원에선 재판이 또 있죠?
[기자]
네, 오늘 법원에선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도 있습니다.
기일변경 신청이 없었기 때문에 오전 10시 15분부터 그대로 진행될 예정인데요.
구속영장이 발부되면서 윤 전 대통령은 구속된 채로 재판을 받게 됩니다.
아직 변호인단은 이번 법원 결과에 따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들어오는 대로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중앙지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수 (kjs81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법원은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고 봤습니다.
법조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권준수 기자!
[기자]
네, 서울중앙지방법원입니다.
[앵커]
심사 결과가 5시간 만에 나왔죠?
[기자]
네, 심사가 끝난 지 5시간 만에 구속영장이 발부됐습니다.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고 봤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3월 구속이 취소되면서 석방됐는데요.
124일 만에 재구속됐습니다.
내란 특검이 수사에 착수한 지 22일 만이기도 합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한 만큼, 수사에 속도를 낼 거로 보입니다.
[앵커]
법원 청사는 현재 분위기 어떻습니까?
[기자]
네, 영장이 발부된 이후 경찰은 경비태세를 강화한 모습입니다.
결과가 나오기 전보다 더 촘촘하게 많은 인력이 근무를 서고 있는데요.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에서 첫 구속 영장이 발부됐을 당시 폭동이 발생했던 걸 비춰, 경찰은 기동대 30여 개 부대를 투입한 상황입니다.
[앵커]
어제 심사 과정도 전반적으로 정리해주시죠.
[기자]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심사가 어제 오후 2시 20분쯤 시작해서 약 6시간 40분 만인 오후 9시쯤 끝났습니다.
심문이 길어지면서 중간에 저녁 식사시간도 가졌고, 이후 재개된 심문에선 양측의 최후 진술이 있었습니다.
윤 전 대통령도 직접 20분가량 목소리를 냈는데요.
지난해 12월 계엄의 정당성을 다시 언급하며, 체포영장 집행 방해 등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한 거로 알려졌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법원을 빠져나올 땐 취재진 질문이 이어졌지만,
묵묵부답이었습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윤석열 / 전 대통령 : (2번째 구속 심사받으셨는데 심경 어떠신가요?) …. (오늘 직접 말씀하셨나요? 소명은 직접 하셨나요?) ….]
앞서 윤 전 대통령은 남색 정장에 붉은색 넥타이 차림으로 이번 심사에 출석했는데요.
특검은 영장심사가 열리는 동안 321호 법정 옆 대기실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인장을 집행했습니다.
[앵커]
특검에선 구속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상당히 많이 준비를 했죠?
[기자]
네, 어제 심사엔 박억수 특검보와 조재철 부장 검사 등 10명이 참여했는데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필요성을 재판부에 소명하기 위해 PPT 178장 분량의 자료를 준비했습니다.
한 장에 1분씩만 계산해도 3시간가량인데요.
비화폰 통화 내역 삭제 정황 등을 비춰 증거를 없앨 우려를 강조했을 거로 보입니다.
또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경호처에 체포 저지를 지시한 적이 있는 만큼 법을 경시하는 태도가 있다며 도망칠 염려가 있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앵커]
오늘 법원에선 재판이 또 있죠?
[기자]
네, 오늘 법원에선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도 있습니다.
기일변경 신청이 없었기 때문에 오전 10시 15분부터 그대로 진행될 예정인데요.
구속영장이 발부되면서 윤 전 대통령은 구속된 채로 재판을 받게 됩니다.
아직 변호인단은 이번 법원 결과에 따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들어오는 대로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중앙지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수 (kjs81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