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일본의 한 맨션 창문에 파리 떼가 붙어 있는 모습 / X(엑스, 구 트위터)
AD
일본에 거주 중인 한 한국인이 창문에 몰린 파리 떼를 이상하게 여기고 신고를 한 사연이 화제다.
지난 5일, 일본에서 거주 중인 한국인 A씨는 길을 걷던 중 한 맨션의 창문에 수십 마리의 파리가 붙어 있는 모습을 목격했다.
평범한 일이 아닐 것이라 느낀 A씨는 즉시 인터넷에 검색했고, 고독사의 가능성이 있다고 추론해 경찰에 신고했다.
A씨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경찰서에 전화했다"며 당시 상황을 소셜미디어 플랫폼 X(엑스)에 사진과 함께 공유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해당 맨션 내부에서 이미 숨진 지 시간이 흐른 시신을 발견했다. 사인은 고독사로 추정된다.
A씨는 댓글에서 "역시 고독사였다"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고인을 애도했다.
해당 게시물은 SNS에서 610만 회가 넘는 조회 수를 기록하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확산됐다.
누리꾼들은 "파리도 신호가 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작은 관심이 누군가의 마지막을 외롭지 않게 했다", "그저 지나치지 않아줘서 감사하다"며 A씨의 행동에 감사를 전했다.
고독사는 일본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일본 내 고독사 사망자는 2만 명을 넘었으며,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사망 후 한 달 이상 방치된 사례도 약 7,000건에 달했다.
한국 역시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고독사 사망자는 3,661명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체 고독사의 41.4%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인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취약계층일수록 고독사 위험에 더욱 쉽게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5일, 일본에서 거주 중인 한국인 A씨는 길을 걷던 중 한 맨션의 창문에 수십 마리의 파리가 붙어 있는 모습을 목격했다.
평범한 일이 아닐 것이라 느낀 A씨는 즉시 인터넷에 검색했고, 고독사의 가능성이 있다고 추론해 경찰에 신고했다.
A씨는 "태어나서 처음으로 경찰서에 전화했다"며 당시 상황을 소셜미디어 플랫폼 X(엑스)에 사진과 함께 공유했다.
일본에 거주 중인 한국인 A씨가 X(엑스)에 올린 글 / X(엑스, 구 트위터)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해당 맨션 내부에서 이미 숨진 지 시간이 흐른 시신을 발견했다. 사인은 고독사로 추정된다.
A씨는 댓글에서 "역시 고독사였다"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고인을 애도했다.
해당 게시물은 SNS에서 610만 회가 넘는 조회 수를 기록하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확산됐다.
누리꾼들은 "파리도 신호가 될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작은 관심이 누군가의 마지막을 외롭지 않게 했다", "그저 지나치지 않아줘서 감사하다"며 A씨의 행동에 감사를 전했다.
고독사는 일본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일본 내 고독사 사망자는 2만 명을 넘었으며, 이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사망 후 한 달 이상 방치된 사례도 약 7,000건에 달했다.
한국 역시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고독사 사망자는 3,661명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체 고독사의 41.4%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인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취약계층일수록 고독사 위험에 더욱 쉽게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