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서열화 타파" 한목소리...방법은 제각각

"대학 서열화 타파" 한목소리...방법은 제각각

2025.05.25. 오후 10:5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여야 대선후보들은 저마다의 교육정책을 내놓고 있는데, 공통적인 공약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대학 서열화를 완화하겠다는 건데요.

지방 소멸 대책과도 이어지는 핵심공약인데, 문제의식은 같지만 후보마다 각기 다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염혜원 기자입니다.

[기자]
대학 서열화 타파는 교육 분야의 오랜 숙제입니다.

이번 대선에서도 후보들은 저마다 이 문제에 해법을 들고 나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을 내걸었습니다.

거점지방국립대에 재정지원을 크게 늘려서 서울대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키우겠다는 겁니다.

서울대만큼 지원하려면 1년에 예산 2조 7천억 원 정도가 더 필요합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후보 (지난 22일) : 포항공대라고 있잖아요. 거기도 지방이잖아요. (포항공대에는) 1인당 학생들에 대한 지원이 엄청나게 많으니까 전국에 우수한 학생이 몰려요. 우수한 교수가 몰려요. 그러니까 거기가 우수한 대학이 되는 거죠.]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서울대와 지역거점 대학교 간의 공동 학위제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도교수와 전공 수업 등을 공유해 서울대 학생들과 똑같은 졸업장을 받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이와 함께 지방대가 연구는 물론 일자리 창출까지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김문수 / 국민의힘 후보 (지난 16일) : (지방의) 좋은 대학교 전부가 제대로 연구소도 다 가지고 창업 교육센터를 획기적으로 늘려서 청년들이 취업할 뿐 아니라 바로 사장으로 새로 창업해서….]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아예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줄이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 서울대와 거점 국립대 학생들이 1년씩 의무적으로 타 대학에서 수업을 듣게 한다는 구상입니다.

[이준석 / 개혁신당 후보 (지난 16일) :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대학들은 정원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서울, 수도권 대학의) 학생을 줄였을 때 오히려 수도권에 있는 학생들도 1인당 교육비가 향상될 수 있고, 지방의 대학들도 학생 충원 문제에 대해서 덜 고민해도 되고….]

다만, 이런 약속들은 이미 여러 차례 선거에서 언급된 적이 있지만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중·고등학교 내신에서부터 수능까지 줄 세우기로 일관하다 대학 서열만 타파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는 반발에 번번이 부딪히고 있는데, 이를 돌파하기 위해선 결국 입시 변화까지 포함하는 정교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YTN 염혜원입니다.



영상편집 : 최연호




YTN 염혜원 (nahi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