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김건희 여사 일가에 대한 특혜 논란이 일었던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노선 변경과 관련해 경찰이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오전 9시부터 국토부와 양평군청 등에 수사관을 보내 자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사회부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정현우 기자, 관련 내용 설명해주시죠.
[기자]
경찰이 오늘(16일) 국토교통부 세종청사, 양평군청, 그리고 용역업체인 경동엔지니어링에 대한 압수수색에 돌입했습니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범죄수사대 수사관들이 오전 9시부터 동시다발적으로 자료 확보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번 압수수색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변경 논란에 대한 수사를 위한 강제수사 절차로 확인됐습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은 국토교통부에서 지난 2017년부터 추진했던 사업으로,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원안 노선의 종점은 양서면이었습니다.
하지만 2년 뒤인 2023년, 국토부가 강상면을 종점으로 검토하자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혜가 아니냐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종점에서 500m 거리인, 강상면 일대에 김 여사 일가의 땅을 포함한 부동산이 다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국토부가 이같이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치적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은 특혜는 전혀 없다면서도 사업 중단을 선언했고, 서울 양평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지금까지 중단된 상태였습니다.
당시 민주당과 야권 시민단체들은 원 전 국토부 장관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습니다.
고발은 검찰을 거쳐서 지난해 7월 다시 경찰에 배당돼, 고발인 조사 등 수사가 진행되고 있던 상태였습니다.
경찰은 오늘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김 여사 일가에 대한 특혜 의혹이 사실인지, 원 전 장관의 직권남용 혐의를 입증할 만한 증거가 있는지 등 조사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정현우입니다.
YTN 정현우 (junghw504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건희 여사 일가에 대한 특혜 논란이 일었던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노선 변경과 관련해 경찰이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오전 9시부터 국토부와 양평군청 등에 수사관을 보내 자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사회부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정현우 기자, 관련 내용 설명해주시죠.
[기자]
경찰이 오늘(16일) 국토교통부 세종청사, 양평군청, 그리고 용역업체인 경동엔지니어링에 대한 압수수색에 돌입했습니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범죄수사대 수사관들이 오전 9시부터 동시다발적으로 자료 확보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번 압수수색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변경 논란에 대한 수사를 위한 강제수사 절차로 확인됐습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은 국토교통부에서 지난 2017년부터 추진했던 사업으로,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원안 노선의 종점은 양서면이었습니다.
하지만 2년 뒤인 2023년, 국토부가 강상면을 종점으로 검토하자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혜가 아니냐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종점에서 500m 거리인, 강상면 일대에 김 여사 일가의 땅을 포함한 부동산이 다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국토부가 이같이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치적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원희룡 당시 국토교통부 장관은 특혜는 전혀 없다면서도 사업 중단을 선언했고, 서울 양평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지금까지 중단된 상태였습니다.
당시 민주당과 야권 시민단체들은 원 전 국토부 장관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습니다.
고발은 검찰을 거쳐서 지난해 7월 다시 경찰에 배당돼, 고발인 조사 등 수사가 진행되고 있던 상태였습니다.
경찰은 오늘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김 여사 일가에 대한 특혜 의혹이 사실인지, 원 전 장관의 직권남용 혐의를 입증할 만한 증거가 있는지 등 조사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정현우입니다.
YTN 정현우 (junghw504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