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김건희 여사에게 이번 주 소환 조사를 받으라고 정식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여러 차례 구두요청에 김 여사 측이 응하지 않자, 공식적으로 출석을 요구하고 나선 건데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부장원 기자!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명태균 씨를 고리로 한 공천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이 최근 김건희 여사 측에 출석 요구서를 보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직선거법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청사로 출석해 조사받으라고 소환을 공식 통보한 겁니다.
검찰은 김 여사 측에 이번 주 중 하루 검찰청사에 출석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수사팀은 지난 2월, 창원지검으로부터 명 씨 사건을 넘겨받은 직후 김 여사 측에 여러 차례 대면 조사가 필요하다고 요청해왔습니다.
하지만 김 여사 측이 별다른 응답을 내놓지 않으면서 일정 조율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여기다 최근 조기 대선 국면이 본격화하면서 선거 전 소환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는데요,
검찰은 이미 명 씨를 비롯한 의혹의 핵심 인물들로부터 충분한 진술과 물적 증거를 수집한 만큼,
의혹의 정점인 김 여사에 대한 조사를 더는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번에 공식적인 출석 요구 절차에 나선 거로 보입니다.
김 여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함께 지난 2022년 20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 받고,
그 대가로 그해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공천받도록 했다는 혐의를 받습니다.
또, 같은 해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포항시장 후보 공천에 개입하고,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김상민 전 검사를 김 전 의원 선거구에 출마시키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있습니다.
[앵커]
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간 모습인데요.
만약 김 여사가 소환에 응한다면 처음으로 검찰청사에 나와 조사를 받게 되는 거죠?
[기자]
김 여사, 그동안 여러 의혹에 연루돼 수사 선상에 올랐고,
검찰 조사도 이뤄진 적이 있지만 검찰청사로 직접 출석해 조사를 받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7월 디올백 수수 의혹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를 대면 조사했는데요.
하지만 검찰청사가 아닌 대통령경호처가 관리하는 제3의 장소로 비공개 출장 조사를 벌여 '특혜 조사', '황제 조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심지어 당시 이원석 검찰총장에게까지 사전에 조사 계획을 보고하지 않아 사상 초유의 '검찰총장 패싱 논란'도 불거졌습니다.
당시에는 김 여사가 영부인 신분이었던 만큼 경호상의 문제 등이 이유로 제시됐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김 여사 역시 공적인 지위를 잃은 만큼 이제는 검찰청 출석을 피할 명분은 사라진 상황입니다.
출석 조사가 이뤄진다면 김 여사에 대해 제기된 의혹이 상당한 만큼 조사가 하루 안에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다만 김 여사가 출석 요구에 불응할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이 경우 검찰은 다시 소환을 통보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해서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을 발부받는 방안도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검찰은 김 여사를 먼저 조사한 뒤 윤 전 대통령도 조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부장원입니다.
YTN 부장원 (boojw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김건희 여사에게 이번 주 소환 조사를 받으라고 정식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여러 차례 구두요청에 김 여사 측이 응하지 않자, 공식적으로 출석을 요구하고 나선 건데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부장원 기자!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명태균 씨를 고리로 한 공천개입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이 최근 김건희 여사 측에 출석 요구서를 보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직선거법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청사로 출석해 조사받으라고 소환을 공식 통보한 겁니다.
검찰은 김 여사 측에 이번 주 중 하루 검찰청사에 출석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수사팀은 지난 2월, 창원지검으로부터 명 씨 사건을 넘겨받은 직후 김 여사 측에 여러 차례 대면 조사가 필요하다고 요청해왔습니다.
하지만 김 여사 측이 별다른 응답을 내놓지 않으면서 일정 조율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여기다 최근 조기 대선 국면이 본격화하면서 선거 전 소환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는데요,
검찰은 이미 명 씨를 비롯한 의혹의 핵심 인물들로부터 충분한 진술과 물적 증거를 수집한 만큼,
의혹의 정점인 김 여사에 대한 조사를 더는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번에 공식적인 출석 요구 절차에 나선 거로 보입니다.
김 여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함께 지난 2022년 20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 받고,
그 대가로 그해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공천받도록 했다는 혐의를 받습니다.
또, 같은 해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포항시장 후보 공천에 개입하고,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김상민 전 검사를 김 전 의원 선거구에 출마시키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있습니다.
[앵커]
조사가 초읽기에 들어간 모습인데요.
만약 김 여사가 소환에 응한다면 처음으로 검찰청사에 나와 조사를 받게 되는 거죠?
[기자]
김 여사, 그동안 여러 의혹에 연루돼 수사 선상에 올랐고,
검찰 조사도 이뤄진 적이 있지만 검찰청사로 직접 출석해 조사를 받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7월 디올백 수수 의혹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를 대면 조사했는데요.
하지만 검찰청사가 아닌 대통령경호처가 관리하는 제3의 장소로 비공개 출장 조사를 벌여 '특혜 조사', '황제 조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심지어 당시 이원석 검찰총장에게까지 사전에 조사 계획을 보고하지 않아 사상 초유의 '검찰총장 패싱 논란'도 불거졌습니다.
당시에는 김 여사가 영부인 신분이었던 만큼 경호상의 문제 등이 이유로 제시됐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김 여사 역시 공적인 지위를 잃은 만큼 이제는 검찰청 출석을 피할 명분은 사라진 상황입니다.
출석 조사가 이뤄진다면 김 여사에 대해 제기된 의혹이 상당한 만큼 조사가 하루 안에 끝나지 않을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다만 김 여사가 출석 요구에 불응할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이 경우 검찰은 다시 소환을 통보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해서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을 발부받는 방안도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검찰은 김 여사를 먼저 조사한 뒤 윤 전 대통령도 조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부장원입니다.
YTN 부장원 (boojw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