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정부가 과잉 우려가 있는 비급여 진료의 적정 관리 방안을 다루는 사회적 논의 기구를 구성하고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정부와 의료계, 환자 단체 등이 참여하는 비급여관리정책협의체 1차 회의를 열었습니다.
첫 회의에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비급여 모니터링 분석 결과를 보고했고, 관리급여 추진 방안 협의가 이뤄졌습니다.
정부는 지난 3월, 과잉 우려가 있는 일부 비급여 항목을 '관리 급여'로 지정해 건강보험 체계에서 관리하되 본인 부담률을 95%로 높이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YTN 권민석 (minseok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보건복지부는 정부와 의료계, 환자 단체 등이 참여하는 비급여관리정책협의체 1차 회의를 열었습니다.
첫 회의에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비급여 모니터링 분석 결과를 보고했고, 관리급여 추진 방안 협의가 이뤄졌습니다.
정부는 지난 3월, 과잉 우려가 있는 일부 비급여 항목을 '관리 급여'로 지정해 건강보험 체계에서 관리하되 본인 부담률을 95%로 높이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YTN 권민석 (minseok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