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근로자 1인 시간당 임금총액 25,156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시간당 임금 격차도 여전
"단시간근로자 증가 탓…노동시장 구조 악화 아냐"
"노동시장에 좋은 징조 아냐…차별 해소 노력해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시간당 임금 격차도 여전
"단시간근로자 증가 탓…노동시장 구조 악화 아냐"
"노동시장에 좋은 징조 아냐…차별 해소 노력해야"
AD
[앵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격차 증가 폭이 지난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거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단시간근로자 증가 영향이지 노동시장 구조 문제는 아니라고 밝혔는데, 국책 연구기관에서조차 좋은 징조로 볼 수 없다며 임금 격차 개선 정책을 펼치라고 주문했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근로자 한 명이 시간당 받은 임금은 평균 25,156원입니다.
1년 전보다 10% 늘었고, 4년째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증가율에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021년 72.9%를 기록한 뒤 내림세 전환돼 지난해 66.4%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특히 작년에만 임금 차가 4.5% 포인트 더 벌어졌는데, 격차 증가 폭으로 역대 최대였습니다.
또, 고용형태가 같더라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여전했습니다.
지난해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같은 규모 비정규직 임금은 62.3% 수준이었지만, 300인 미만 사업체 비정규직의 경우 41.5%에 머물렀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임금 불평등이 계속 악화하고 고착화하는 상황.
정부는 단시간근로자가 1년 새 10% 증가해 비정규직 임금 상승률이 내려갔다며, 노동시장 구조가 악화한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김재훈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 : 고용이 늘어나는 좋은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고요. 대신 임금이 조금 줄어드는 효과도 발생하겠지만 가구 소득으로 보게 되면 또 늘어나는 효과가 있거든요.]
노동 전문가들은 단시간근로자 증가가 노동시장에 좋은 징조는 아니라며 정부가 임금 차별 해소에 더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오계택 / 한국노동연구원 노사관계연구본부장 : 서로 비슷한 일을 할 때 비슷한 임금을 주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임금 관행을 좀 더 강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요.]
더불어 산업 생태계를 공정하게 만들어 공평한 임금 관행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산업정책과 노동정책의 결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문석입니다.
영상기자 : 정철우
영상편집 : 고창영
디자인 : 임샛별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격차 증가 폭이 지난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거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단시간근로자 증가 영향이지 노동시장 구조 문제는 아니라고 밝혔는데, 국책 연구기관에서조차 좋은 징조로 볼 수 없다며 임금 격차 개선 정책을 펼치라고 주문했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근로자 한 명이 시간당 받은 임금은 평균 25,156원입니다.
1년 전보다 10% 늘었고, 4년째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증가율에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021년 72.9%를 기록한 뒤 내림세 전환돼 지난해 66.4%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특히 작년에만 임금 차가 4.5% 포인트 더 벌어졌는데, 격차 증가 폭으로 역대 최대였습니다.
또, 고용형태가 같더라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여전했습니다.
지난해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같은 규모 비정규직 임금은 62.3% 수준이었지만, 300인 미만 사업체 비정규직의 경우 41.5%에 머물렀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임금 불평등이 계속 악화하고 고착화하는 상황.
정부는 단시간근로자가 1년 새 10% 증가해 비정규직 임금 상승률이 내려갔다며, 노동시장 구조가 악화한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김재훈 /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 : 고용이 늘어나는 좋은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고요. 대신 임금이 조금 줄어드는 효과도 발생하겠지만 가구 소득으로 보게 되면 또 늘어나는 효과가 있거든요.]
노동 전문가들은 단시간근로자 증가가 노동시장에 좋은 징조는 아니라며 정부가 임금 차별 해소에 더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오계택 / 한국노동연구원 노사관계연구본부장 : 서로 비슷한 일을 할 때 비슷한 임금을 주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임금 관행을 좀 더 강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요.]
더불어 산업 생태계를 공정하게 만들어 공평한 임금 관행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산업정책과 노동정책의 결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문석입니다.
영상기자 : 정철우
영상편집 : 고창영
디자인 : 임샛별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