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엑스
AD
많은 양의 비가 내린 어제(1일) 수도권 곳곳에서 기괴한 모양의 구름이 관측돼 화제가 되고 있다.
이날 엑스(X·옛 트위터)와 스레드 등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이런 구름은 처음 본다", "하늘에서 파도가 치는 것 같다" 등 반응과 함께 하늘을 찍은 사진들이 다수 올라왔다.
구름의 이름은 '거친물결 구름'(Asperatus)이다. 지난 2017년 세계기상기구가 발행하는 '국제구름도감'에 실렸다.
거친 물결이 치는 듯한 모양이라는 뜻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는데, '거친, 울퉁불퉁한'이라는 뜻의 라틴어 아스페리타스(asperitas)에서 유래했다. 괴이한 모양 탓에 '악마의 구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거친물결 구름은 대기가 불안정할 때 발생한다. 구름 내 공기 덩어리가 상승과 하강 운동을 반복하면 파동이 발생하는데, 이때 구름 아래가 물결치듯 일렁이게 되는 것이다.
이 구름은 지표가 평평한 대륙에서 종종 관측되지만, 한반도처럼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는 흔하게 볼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와 스레드 등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이런 구름은 처음 본다", "하늘에서 파도가 치는 것 같다" 등 반응과 함께 하늘을 찍은 사진들이 다수 올라왔다.
구름의 이름은 '거친물결 구름'(Asperatus)이다. 지난 2017년 세계기상기구가 발행하는 '국제구름도감'에 실렸다.
엑스
거친 물결이 치는 듯한 모양이라는 뜻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는데, '거친, 울퉁불퉁한'이라는 뜻의 라틴어 아스페리타스(asperitas)에서 유래했다. 괴이한 모양 탓에 '악마의 구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거친물결 구름은 대기가 불안정할 때 발생한다. 구름 내 공기 덩어리가 상승과 하강 운동을 반복하면 파동이 발생하는데, 이때 구름 아래가 물결치듯 일렁이게 되는 것이다.
이 구름은 지표가 평평한 대륙에서 종종 관측되지만, 한반도처럼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는 흔하게 볼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