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람인 제공
AD
올해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이 10곳 중 5곳에 못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오늘(9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47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석 상여금 지급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추석 상여금을 ‘지급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47.7%로 집계됐다. 지난 2012년부터 사람인이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저치 기록이다.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이유로는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가 40.7%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사정상 지급 여력이 없어서'가 28.0%, '명절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가 24.0%, '위기 경영 중이어서'가 17.5%, '상반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서'가 9.8%로 뒤를 이었다.
또한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업의 18.3%는 지난해 상여금을 지급했다고 답했다.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 224곳은 평균 66만 5,600원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상여금 지급 이유로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가 54.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가 37.1%,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가 20.5%, ‘추석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가 10.7% 순이었다.
전체 조사 기업의 78.3%는 추석 선물을 지급한다고 응답했다. 선물 품목은 ‘햄, 참치 등 가공식품’이 45.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배, 사과 등 과일류'가 21.5%, '한우 갈비 등 육류'가 15.8%, '홍삼 등 건강보조식품'이 10.1%로 뒤를 이었다. 평균 선물 비용은 8만 1천 원으로, 평균 상여금 지급액에 비하면 월등히 낮은 수준이다.
사람인은 "상여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을 아낄 수 있는 선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박선영 기자
YTN digital 박선영 (parksy@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9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47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석 상여금 지급계획' 조사 결과에 따르면 추석 상여금을 ‘지급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47.7%로 집계됐다. 지난 2012년부터 사람인이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저치 기록이다.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이유로는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가 40.7%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사정상 지급 여력이 없어서'가 28.0%, '명절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가 24.0%, '위기 경영 중이어서'가 17.5%, '상반기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서'가 9.8%로 뒤를 이었다.
또한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업의 18.3%는 지난해 상여금을 지급했다고 답했다.
추석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 224곳은 평균 66만 5,600원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상여금 지급 이유로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가 54.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가 37.1%,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가 20.5%, ‘추석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가 10.7% 순이었다.
전체 조사 기업의 78.3%는 추석 선물을 지급한다고 응답했다. 선물 품목은 ‘햄, 참치 등 가공식품’이 45.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배, 사과 등 과일류'가 21.5%, '한우 갈비 등 육류'가 15.8%, '홍삼 등 건강보조식품'이 10.1%로 뒤를 이었다. 평균 선물 비용은 8만 1천 원으로, 평균 상여금 지급액에 비하면 월등히 낮은 수준이다.
사람인은 "상여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을 아낄 수 있는 선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박선영 기자
YTN digital 박선영 (parksy@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