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AD
지난해 일정 규모 이상의 한국 상업영화 가운데 여성이 메가폰을 잡은 작품은 단 한 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가 7일 발표한 ‘2023년 한국 영화 성인지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개봉한 고예산(순제작비 30억 원 이상) 한국 상업영화 35편을 연출한 감독들 가운데 여성은 ‘교섭’의 임순례 감독 1명(2.7%)뿐이었다.
영진위는 2017년부터 해마다 한국 영화산업의 성평등 현황을 조사해 성인지 결산 보고서를 내고 있다. 지난해 한국 상업영화의 여성 감독 비율은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성 제작자(22명·23.9%), 프로듀서(13명·23.6%), 주연배우(9명·25.7%), 각본가(12명·21.8%)도 모두 30%에 못 미쳤다. 여성 촬영감독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저예산 상업영화와 독립·예술영화를 포함한 한국 영화 183편으로 대상을 확대하면 여성 감독은 49명(22.8%)으로 비율이 높아지긴 했다.
여성 제작자(77명·24.8%), 프로듀서(71명·31.0%), 주연배우(81명·40.7%), 각본가(67명·30.7%), 촬영감독(18명·8.1%)의 비율도 고예산 상업영화보다 소폭 높았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영진위는 “여성 인력은 저예산 및 독립·예술영화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한 참여를 보였지만 상업영화로의 진출은 여전히 가로막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오리지널 영화 7편을 봐도 여성 감독과 촬영감독은 한 명도 없었다. 각본가도 1명(16.7%)에 그쳤다.
다만 여성 제작자(4명·50.0%), 프로듀서(3명·37.5%), 주연배우(5명·83.3%)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았다.
OTT 영화의 여성 주연 비율이 높았던 건 ‘정이’,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길복순’, ‘발레리나’ 등 여성 주연작이 지난해 잇달아 공개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해 영진위는 “OTT 오리지널 영화에서 보인 여성 주연의 활약이 일시적인 유행에 그칠지는 지켜봐야 한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영화계에서 과감한 실험을 하는 경향이 위축되면서 여성 인력에 돌아가는 기회가 더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가 7일 발표한 ‘2023년 한국 영화 성인지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개봉한 고예산(순제작비 30억 원 이상) 한국 상업영화 35편을 연출한 감독들 가운데 여성은 ‘교섭’의 임순례 감독 1명(2.7%)뿐이었다.
영진위는 2017년부터 해마다 한국 영화산업의 성평등 현황을 조사해 성인지 결산 보고서를 내고 있다. 지난해 한국 상업영화의 여성 감독 비율은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성 제작자(22명·23.9%), 프로듀서(13명·23.6%), 주연배우(9명·25.7%), 각본가(12명·21.8%)도 모두 30%에 못 미쳤다. 여성 촬영감독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저예산 상업영화와 독립·예술영화를 포함한 한국 영화 183편으로 대상을 확대하면 여성 감독은 49명(22.8%)으로 비율이 높아지긴 했다.
여성 제작자(77명·24.8%), 프로듀서(71명·31.0%), 주연배우(81명·40.7%), 각본가(67명·30.7%), 촬영감독(18명·8.1%)의 비율도 고예산 상업영화보다 소폭 높았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영진위는 “여성 인력은 저예산 및 독립·예술영화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한 참여를 보였지만 상업영화로의 진출은 여전히 가로막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오리지널 영화 7편을 봐도 여성 감독과 촬영감독은 한 명도 없었다. 각본가도 1명(16.7%)에 그쳤다.
다만 여성 제작자(4명·50.0%), 프로듀서(3명·37.5%), 주연배우(5명·83.3%)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높았다.
OTT 영화의 여성 주연 비율이 높았던 건 ‘정이’,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길복순’, ‘발레리나’ 등 여성 주연작이 지난해 잇달아 공개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해 영진위는 “OTT 오리지널 영화에서 보인 여성 주연의 활약이 일시적인 유행에 그칠지는 지켜봐야 한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영화계에서 과감한 실험을 하는 경향이 위축되면서 여성 인력에 돌아가는 기회가 더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YTN digital 곽현수 (abroa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